• 흐림19.1℃
  • 흐림속초13.1℃
  • 흐림17.2℃
  • 흐림철원19.4℃
  • 구름많음동두천22.5℃
  • 구름많음파주22.2℃
  • 구름많음대관령17.6℃
  • 구름많음춘천16.6℃
  • 비백령도9.1℃
  • 흐림북강릉19.3℃
  • 흐림강릉21.0℃
  • 구름많음동해16.1℃
  • 구름많음서울20.9℃
  • 흐림인천20.9℃
  • 구름많음원주21.9℃
  • 흐림울릉도13.7℃
  • 구름많음수원21.3℃
  • 구름많음영월20.6℃
  • 구름많음충주22.0℃
  • 흐림서산21.8℃
  • 흐림울진13.8℃
  • 흐림청주23.0℃
  • 흐림대전22.1℃
  • 흐림추풍령18.8℃
  • 구름많음안동19.8℃
  • 흐림상주19.7℃
  • 흐림포항16.6℃
  • 흐림군산21.5℃
  • 흐림대구18.7℃
  • 흐림전주22.7℃
  • 흐림울산16.1℃
  • 흐림창원17.0℃
  • 흐림광주19.7℃
  • 흐림부산16.3℃
  • 흐림통영15.7℃
  • 흐림목포16.5℃
  • 흐림여수14.1℃
  • 비흑산도13.9℃
  • 흐림완도15.1℃
  • 흐림고창18.6℃
  • 구름많음순천15.7℃
  • 흐림홍성(예)22.1℃
  • 구름많음22.6℃
  • 흐림제주19.3℃
  • 흐림고산18.5℃
  • 흐림성산17.0℃
  • 흐림서귀포18.7℃
  • 흐림진주16.5℃
  • 구름많음강화19.9℃
  • 구름많음양평20.8℃
  • 구름많음이천22.1℃
  • 흐림인제15.6℃
  • 구름많음홍천18.4℃
  • 구름많음태백17.7℃
  • 흐림정선군17.1℃
  • 구름많음제천19.2℃
  • 흐림보은18.8℃
  • 구름많음천안22.0℃
  • 흐림보령21.5℃
  • 흐림부여20.6℃
  • 흐림금산22.2℃
  • 구름많음21.9℃
  • 흐림부안20.9℃
  • 흐림임실18.8℃
  • 흐림정읍20.7℃
  • 흐림남원20.4℃
  • 흐림장수19.7℃
  • 흐림고창군19.3℃
  • 구름많음영광군19.9℃
  • 흐림김해시17.8℃
  • 흐림순창군18.7℃
  • 흐림북창원17.5℃
  • 구름많음양산시19.3℃
  • 흐림보성군17.0℃
  • 흐림강진군17.6℃
  • 흐림장흥16.3℃
  • 흐림해남15.5℃
  • 흐림고흥14.5℃
  • 흐림의령군18.5℃
  • 흐림함양군20.0℃
  • 흐림광양시16.7℃
  • 흐림진도군15.3℃
  • 구름많음봉화19.4℃
  • 흐림영주18.6℃
  • 구름많음문경19.1℃
  • 흐림청송군21.2℃
  • 구름많음영덕15.1℃
  • 흐림의성20.8℃
  • 흐림구미19.5℃
  • 구름많음영천19.9℃
  • 구름많음경주시19.7℃
  • 흐림거창18.0℃
  • 흐림합천18.2℃
  • 흐림밀양18.9℃
  • 흐림산청17.0℃
  • 흐림거제15.5℃
  • 흐림남해15.0℃
  • 흐림19.1℃
  • 흐림속초13.1℃
기상청 제공

2025년 04월 12일 (토)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서 병용 치료제로 중성약 사용 ‘효과적’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서 병용 치료제로 중성약 사용 ‘효과적’

20200528154405_79e4ebf017c04fff46ad659dca22bfad_w22h.jpg

[편집자 주]  본란에서는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KMCRIC)의 ‘근거중심한의약 데이터베이스’ 논문 중 주목할 만한 임상논문을 소개한다.

 

 


1.jpg

한창우

부산대학교한방병원 한방내과 


KMCRIC 제목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NAFLD)에 대한 중성약(Chinese patent medicine)의 효과. 


서지사항

Xu Y, Wang Y, Gou XJ, Wang M. Comparative Efficacy of Chinese Patent Medicines for Clearing Heat and Dampness in the Treatment of NAFLD: A Network Meta-Analysis of Real-World Evidence.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22 Jul 31;2022:4138555. doi: 10.1155/2022/4138555(2021 IF 2.650).


연구 설계

· 공통 대조군 간접 비교 방법으로 수종의 중성약을 비교 분석하는 네트워크 메타분석.

· 화학 약품(chemical drug) 투여군을 대조군으로 하고, 중성약(Chinese patent medicine) 중 하나가 대조군 중재와 함께 병용 투여된 그룹을 시험군으로 하는 무작위 대조 연구들을 대상으로 했음.

* chemical drug은 conventional medi cines(western medicines)을 지칭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양약 또는 기존 치료제 등으로 표기하는 것도 고려했으나, 화학 약품이 원문의 의미에 가장 적합한 단어로 생각됨.


연구 목적

빅데이터와 실제 임상 데이터(real-world data)를 결합해 화학 약품(chemical drug)과 병용 투여 시 중성약(Chinese patent medicine)의 임상 효능을 평가하고 합리적인 약물 선택을 위한 추가 근거를 제공하는 것.


질환 및 연구대상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NAFLD).


시험군 중재

대조군 중재와 함께 중성약(Chinese patent medicine)이 병용 투여됨.

투여된 중성약은 大黄利胆囊(Da-Huang-Li-Dan capsule·DHLD), 胆宁片 (Dan-Ning tablet·DN), 当飞利肝宁胶囊(Dang-Fei-Li-Gan-Ning capsule·DFLGN), 强肝胶囊(Qiang-Gan capsule·QG) 및 化滞柔肝颗粒(Hua-Zhi-Rou-Gan granule·HZRG).

 

대조군 중재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에 투여되는 기존 치료제에 해당하는 화학 약품들.

스타틴계 고지혈증 치료제, 소염제, 경구 혈당 강하제 및 영양제가 포함됐으며, 스타틴계 고지혈증 치료제로는 주로 아토르바스타틴(atorvastatin), 심바스타틴(simvastatin) 및 로수바스타틴(rosuvastatin)이 단독 또는 병용 투여됨.


평가지표

· 일차 평가지표: 임상 유효(유효 또는 유효하지 않음).

· 그 외 평가지표: 알라닌아미노기전달효소, 아스파트산아미노기전달효소, 총 콜레스테롤 및 트라이글리세라이드.

· 치료법 사이의 비교우위는 누적 순위 확률 곡선 하 면적(the surface under the cumulative ranking·SUCRA)을 계산하여 비교했음.


주요 결과

1. 화학 약품(chemical drug)들과 병용 투여됐을 때 大黄利胆囊, 胆宁片, 当飞利肝宁胶囊, 强肝胶囊 및 化滞柔肝颗粒이 모두 임상 유효율을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개선시켰다.

2. 치료법 사이의 비교우위 순서는 胆宁片(SUCRA: 81.8%), 当飞利肝宁胶囊(SUCRA: 74.9%), 大黄利胆囊(SUCRA: 61.1%), 化滞柔肝颗粒(SUCRA: 56%), 强肝胶囊(SUCRA: 25.9%)이었다.

3. 알라닌아미노기전달효소 감소 효과에서는 胆宁片이 최선의 중성약이었고(SUCRA: 85.5%), 아스파트산아미노기전달효소 감소 효과에서는 当飞利肝宁胶囊이 최선의 중성약이었으며(SUCRA: 83.6%), 총 콜레스테롤 및 트라이글리세라이드 감소 효과에서는 化滞柔肝颗粒이 최선의 중성약이었다(SUCRA: 87.1%, 및 79.9%).


저자 결론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에서 병용 치료제로 중성약(Chinese patent medicine)을 사용하는 것은, 혜택을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이고 효과적인 중재일 수 있다. 특히 胆宁片이 화학 약품(chemical drug)과 함께 투여됐을 때, 임상 유효율 및 그 외 지표들에서 가장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다.


KMCRIC 비평

이 연구에서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on-al coholic fatty liver disease·NAFLD)에 사용되는 중성약(Chinese patent medicine)들의 임상 효능을 평가하고, 합리적인 약물 선택 근거를 제공하기 위해 네트워크 메타분석을 시행했다. 기존 치료제에 해당하는 화학 약품 투여군을 대조군으로 하고, 시험군으로는 대조군 치료에 더해 중성약을 투여한 무작위 대조 연구들을 포함했다. 화학 약품 투여군을 공통 대조군으로 하는 간접 비교 방법으로 분석을 진행했고, 중성약들 간의 비교우위는 누적 순위 확률 곡선 하 면적(the surface under the cumulative ranking·SUCRA)[1]을 계산하여 비교했다.

 

평가 대상이 되었던 다섯 가지 중성약 모두 일차 지표인 임상 유효율을 유의하게 개선했으며, SUCRA 값에 따른 비교우위 순서는 胆宁片 > 当飞利肝宁胶囊 > 大黄利胆囊 > 化滞柔肝颗粒 > 强肝胶囊 이었다. 따라서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에서 기존 치료와 병행해 일부 중성약을 함께 투여하면 치료율을 더 높일 수 있으며, 특히 胆宁片을 병용 투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이 연구 결과를 해석하는 데에는 몇 가지 제한 사항이 있다. 우선 포함된 연구들의 방법론적 품질이 낮아 bias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대조군들에 적용된 화학 약품(chemical drug)에는 포함된 연구에 따라 상이한 기존 치료제가 적용됐다고 했는데, 화학 약품으로 명명할 수 있다는 점 이외에는 유사성을 뒷받침할 다른 근거가 제시되어 있지 않다. 


공통 대조군에 포함된 여러 집단들에 대해 효능 크기가 서로 다른 처치들이 적용됐다면 비교우위 결과가 부정확할 수 있다. 한편, 일차 평가변수로 사용된 ‘임상 유효’라는 지표는 중의학 이외의 의료 집단에서 사용례를 찾기 어렵고, 본 연구에서 개념 정의도 제시되지 않아 연구 결과의 임상적 해석이 명확하지 않은 점도 아쉽게 느껴진다.

 

중성약과 조제 구성이 유사한 한약처방에 대해서도 비슷한 효능과 우선순위를 가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이 연구의 제한 사항을 보완할 만한 충분한 관련 임상연구가 우선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1] Mbuagbaw L, Rochwerg B, Jaeschke R, Heels-Andsell D, Alhazzani W, Thabane L, Guyatt GH. Approaches to interpreting and choosing the best treatments in network meta-analyses. Syst Rev. 2017 Apr 12;6(1):79. doi: 10.1186/s13643-017-0473-z.

https://pubmed.ncbi.nlm.nih.gov/28403893/


KMCRIC 링크

https://www.kmcric.com/database/ebm_result_detail?cat=SR&access=S202207102. 

 

관련기사

가장 많이 본 뉴스

더보기

최신뉴스

더보기

동영상

더보기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