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협, 강선우 국회의원과 간담회 개최(10일)
[한의신문=김대영 기자] 코로나19 확진을 받은 후 환치된 사람의 10명 중 9명이 각종 후유증에 시달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 아사히신문 잡지인 아에라 9월7일호에서는 이탈리아 로마 바티칸 카톨릭대학 부속병원이 코로나19로 입원했다 완치돼 퇴원 후 외래진료를 받은 143명의 건강상태를 조사, 미의학협회저널에 발표한 내용을 다뤘다.
이에따르면 코로나19 감염돼 증상이 나타난 뒤 2개월 후 모든 증상이 없어진 사람은 13%(18명)에 그쳤다.
나머지 87%가 후유증을 겪고 있었는데 55%가 3개 이상의 후유증을, 32%가 1~2 종류의 후유증을 앓고 있었다.
가장 많은 사람이 호소한 후유증은 피로감(53%)이었다.
그 다음으로 호흡곤란(43%), 관절통(27%), 흉통(22%)이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후각 및 미각 장애 등도 호소했다.
이러한 경향은 다른 나라에서도 마찬가지다.
중국, 프랑스 등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해 중등도 이상의 폐렴 증세를 보였던 환자의 대부분이 회복 후에도 폐 기능이 저하되고 답답함 등 호흡기 관련 증상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고했다.
사실 2002~2003년 유행했던 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때도 발병 후 6개월 이상 경과해도 후유증에 시달리는 사례들이 보고됐다.
홍콩대학에서 SARS 감염자 110명을 반년 후 조사한 결과 30%가 X선 검사에서 폐에 이상이 발견됐다.
2년 후에도 폐 기능이 정상으로 돌아오지 않은 사람이 20%에 달했다.
특히 신체적 후유증에 그치지 않고 20%는 2년 후에도 외상후스트레스증후군 등 정신적 후유증에 시달렸다.
일본 호흡기학회 요코야마 아키히토 이사장은 폐 기능이 떨어지는 것과 관련해 바이러스에 감염돼 폐렴이 발생했을 때 면역세포가 바이러스를 공격하려고 내놓은 사이토카인이 과다하게 나와 폐 자체도 손상됐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또 손상된 폐포가 섬유화돼 딱딱해져 가스 교환을 충분히 할 수 없게 됨으로서 호흡곤란을 가져오고 코로나19의 특징적인 후유증으로는 혈전이 혈관내에서 생기는 '혈전증'이나 '심근염', '신장애' 등이 있다는 설명이다.
요코야마 이사장은 "혈관 안쪽의 내피세포가 바이러스에 직접 공격받거나 바이러스를 공격하려다 면역세포가 낸 사이토카인에 의해 손상돼 생기는 혈관 장애로 인해 폐와 심장, 신장 등에 후유증이 생길 수 있다"고 했다.
특히 아에라는 코로나19로 인한 고령층의 정신적 영향이 커질 가능성을 우려했다.
노인은 신체 후유증뿐 아니라 정신적 후유증도 커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집중치료시설 등에서 입원 치료를 받은 환자에게는 섬망이 생길 수 있는데 영국 국민보건서비스(NHS)에 따르면 젊은 환자는 대부분 회복되면 섬망도 소실되지만 노령환자는 25%가 퇴원 후 3개월이 지나도 섬망이 남고 20%는 반년 후에도 남았다.
대한침구의학회, ‘2025 춘계학술대회’ 개최
고령층 특성 변화 따른 노인 연령 기준 개편 논의
경기도한의사회, 신임 분회장 간담회 ‘성료’
광주광역시한의사회, ‘2025년 제3회 정기이사회’ 개최
“전인적 한의약, 대한민국에 균형적 의료공급 가능”
동두천시보건소, ‘어르신 주치의 사업’ 운영
“기부란 의료인으로서 받은 사랑을 사회에 돌려드리는 방법”
광주광역시한의사회, 산불 피해 이재민 구호 위한 성금 기부
“산불재난 속 활약하는 한의진료소 위해 한약 지원”
필한방병원, ‘제5회 필환경 캠페인 공모전’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