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17.9℃
  • 흐림속초14.5℃
  • 흐림22.6℃
  • 흐림철원22.0℃
  • 흐림동두천21.8℃
  • 흐림파주17.6℃
  • 흐림대관령18.5℃
  • 구름많음춘천22.8℃
  • 비백령도8.6℃
  • 흐림북강릉18.7℃
  • 흐림강릉20.2℃
  • 흐림동해13.9℃
  • 비서울21.7℃
  • 천둥번개인천16.5℃
  • 흐림원주23.5℃
  • 흐림울릉도14.4℃
  • 비수원21.7℃
  • 흐림영월22.3℃
  • 흐림충주22.0℃
  • 흐림서산19.5℃
  • 흐림울진14.6℃
  • 흐림청주22.5℃
  • 흐림대전23.7℃
  • 흐림추풍령19.3℃
  • 흐림안동23.5℃
  • 흐림상주21.7℃
  • 흐림포항18.1℃
  • 흐림군산22.5℃
  • 흐림대구21.3℃
  • 흐림전주22.1℃
  • 흐림울산17.4℃
  • 흐림창원15.8℃
  • 흐림광주18.2℃
  • 흐림부산16.5℃
  • 흐림통영17.0℃
  • 흐림목포16.4℃
  • 흐림여수14.1℃
  • 비흑산도12.4℃
  • 흐림완도17.3℃
  • 흐림고창17.8℃
  • 흐림순천14.8℃
  • 비홍성(예)22.1℃
  • 흐림23.2℃
  • 비제주19.6℃
  • 흐림고산17.7℃
  • 흐림성산16.6℃
  • 비서귀포17.7℃
  • 흐림진주17.1℃
  • 흐림강화17.9℃
  • 흐림양평23.0℃
  • 흐림이천24.2℃
  • 흐림인제23.3℃
  • 흐림홍천22.8℃
  • 흐림태백19.0℃
  • 흐림정선군23.2℃
  • 흐림제천21.1℃
  • 흐림보은20.8℃
  • 흐림천안22.3℃
  • 흐림보령22.7℃
  • 흐림부여21.3℃
  • 흐림금산22.4℃
  • 흐림19.1℃
  • 흐림부안21.7℃
  • 흐림임실19.4℃
  • 흐림정읍20.8℃
  • 흐림남원20.5℃
  • 흐림장수18.7℃
  • 흐림고창군19.1℃
  • 흐림영광군19.1℃
  • 흐림김해시18.4℃
  • 흐림순창군18.2℃
  • 흐림북창원18.2℃
  • 흐림양산시19.6℃
  • 흐림보성군15.8℃
  • 흐림강진군16.4℃
  • 흐림장흥16.0℃
  • 흐림해남16.0℃
  • 흐림고흥15.1℃
  • 흐림의령군18.9℃
  • 흐림함양군18.6℃
  • 흐림광양시15.5℃
  • 흐림진도군17.3℃
  • 흐림봉화20.2℃
  • 흐림영주20.9℃
  • 흐림문경21.6℃
  • 흐림청송군21.3℃
  • 흐림영덕15.4℃
  • 흐림의성22.8℃
  • 흐림구미21.1℃
  • 흐림영천20.4℃
  • 흐림경주시20.3℃
  • 흐림거창18.2℃
  • 흐림합천20.1℃
  • 흐림밀양20.4℃
  • 흐림산청16.7℃
  • 흐림거제16.2℃
  • 흐림남해15.4℃
  • 흐림17.9℃
  • 흐림속초14.5℃
기상청 제공

2025년 04월 12일 (토)

코로나19 완치자 10명 중 9명이 후유증에 시달려

특집판

코로나19 완치자 10명 중 9명이 후유증에 시달려

피로감, 호흡곤란, 관절통, 흉통, 후각 및 미각 장애 등
고령층의 정신적 후유증 취약

아에라.jpg

[한의신문=김대영 기자] 코로나19 확진을 받은 후 환치된 사람의 10명 중 9명이 각종 후유증에 시달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 아사히신문 잡지인 아에라 9월7일호에서는 이탈리아 로마 바티칸 카톨릭대학 부속병원이 코로나19로 입원했다 완치돼 퇴원 후 외래진료를 받은 143명의 건강상태를 조사, 미의학협회저널에 발표한 내용을 다뤘다.

 

이에따르면 코로나19 감염돼 증상이 나타난 뒤 2개월 후 모든 증상이 없어진 사람은 13%(18명)에 그쳤다.

나머지 87%가 후유증을 겪고 있었는데 55%가 3개 이상의 후유증을, 32%가 1~2 종류의 후유증을 앓고 있었다.

 

가장 많은 사람이 호소한 후유증은 피로감(53%)이었다.

그 다음으로 호흡곤란(43%), 관절통(27%), 흉통(22%)이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후각 및 미각 장애 등도 호소했다.

 

이러한 경향은 다른 나라에서도 마찬가지다.

중국, 프랑스 등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해 중등도 이상의 폐렴 증세를 보였던 환자의 대부분이 회복 후에도 폐 기능이 저하되고 답답함 등 호흡기 관련 증상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고했다.

 

사실 2002~2003년 유행했던 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때도 발병 후 6개월 이상 경과해도 후유증에 시달리는 사례들이 보고됐다.

홍콩대학에서 SARS 감염자 110명을 반년 후 조사한 결과 30%가 X선 검사에서 폐에 이상이 발견됐다.

2년 후에도 폐 기능이 정상으로 돌아오지 않은 사람이 20%에 달했다.

특히 신체적 후유증에 그치지 않고 20%는 2년 후에도 외상후스트레스증후군 등 정신적 후유증에 시달렸다.

 

일본 호흡기학회 요코야마  아키히토 이사장은 폐 기능이 떨어지는 것과 관련해 바이러스에 감염돼 폐렴이 발생했을 때 면역세포가 바이러스를 공격하려고 내놓은 사이토카인이 과다하게 나와 폐 자체도 손상됐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또 손상된 폐포가 섬유화돼 딱딱해져 가스 교환을 충분히 할 수 없게 됨으로서 호흡곤란을 가져오고 코로나19의 특징적인 후유증으로는 혈전이 혈관내에서 생기는 '혈전증'이나 '심근염', '신장애' 등이 있다는 설명이다.


요코야마 이사장은 "혈관 안쪽의 내피세포가 바이러스에 직접 공격받거나 바이러스를 공격하려다 면역세포가 낸 사이토카인에 의해 손상돼 생기는 혈관 장애로 인해 폐와 심장, 신장 등에 후유증이 생길 수 있다"고 했다.


특히 아에라는 코로나19로 인한 고령층의 정신적 영향이 커질 가능성을 우려했다.

노인은 신체 후유증뿐 아니라 정신적 후유증도 커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집중치료시설 등에서 입원 치료를 받은 환자에게는 섬망이 생길 수 있는데 영국 국민보건서비스(NHS)에 따르면 젊은 환자는 대부분 회복되면 섬망도 소실되지만 노령환자는 25%가 퇴원 후 3개월이 지나도 섬망이 남고 20%는 반년 후에도 남았다.

 

관련기사

가장 많이 본 뉴스

더보기

최신뉴스

더보기

동영상

더보기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