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형준 ㈜글로벌오픈파트너스 대표, 오송센터 건립 대응전략 발표
[한의신문] 박덕흠(국민의힘)·김영진(더불어민주당)·이연희(더불어민주당)·안상훈(국민의힘) 의원이 27일 개최한 ‘오송 국립한의약임상연구센터 및 연구특화 한방병원 건립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건립 추진을 위해선 주무부처 및 지자체·지역주민과의 사전 공감대 확보와 차별화된 한의약 특화 임상연구플랫폼 기획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날 과학·의료 분야 산업 연계 프로젝트 컨설팅회사인 ㈜글로벌오픈파트너스 고형준 대표는 ‘국립한의약임상연구센터 및 한방병원 건립을 위한 대응전략’이란 주제로 발제에 나서며 건립 추진을 위한 세부 수행전략을 제시했다.
고형준 대표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에 의한 한의약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AI 등 첨단기술 융합)과 인구 고령화·만성질환 증가로 글로벌 전통의약 시장이 연평균 12.5%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한의약 육성발전 종합계획을 수립해 한의약 수요·산업 발전을 위한 R&D를 추진하고 있지만 낮은 산업계의 참여율(5.7%)과 타 사업 연구비 평균(3.8억원) 대비 낮은 연구비(2.2억원)로 인해 그 진척은 저조한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바이오의약 생산 지원 인프라 구축 △보건의료계 주요 국책기관 입주 △다수의 산업 단지 지정으로 산업-연구 연계가 용이한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에는 상급종합병원과 유명대학이 부족해 바이오·의료 분야 R&D 규모 확장에는 그 한계가 있다.
이에 고 대표는 한의약 정책을 반영한 △한의약 특화 임상연구 △인프라 및 설비 구축 △공익적 임상연구 실증 및 차별성 확보를 위해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에 ‘국립한의약임상연구센터 및 연구특화 한방병원(이하 오송센터)’ 건립 추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고 대표는 “질환 중심의 치료에 초점이 맞춰진 기존 한의약 연구개발 프로세스는 기초연구부터 임상·인허가·상용화까지 전주기 연계와 상용화 지원이 어려웠으나 오송센터는 동일 공간에서 병원-출연연-대학이 연계해 공동사업을 수행함으로써 공익적 연구 성과를 신속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도출할 수 있으며, 향후 질환 중심 치료 R&D에서 더 나아간 ‘차세대 미래 첨단 한의약 융복합 R&BD’ 추진도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고 대표는 오송센터 건립 추진을 위한 세부 수행전략으로 △임상연구 주제 및 사업 설정(신약·의료기기·의료서비스·산업 등 사업범위 구체화, 각 분과위 연구범위 구체화) △연구방법 설정(환경 분석을 통한 건립 방향, 건립·운영 타당성 제시) △입지타당성 설정(입지 적정성 평가 실시, 필요 조건 및 보완 방안 제시) △수요의 충분성 확보(핵심서비스·시설장비 차별화 요인과 연계된 개념 구성도 도출) △적정 규모·추진 로드맵 설정(오송 인구 현황·환자 수요·의료현황 감안한 단계별 건립·동시건립 타당성 검토) △기존 인프라 사업 연계성 확보(산학연병관 가치사슬·기능 분석, 연계 네트워크 구축 방안 마련) △경제 타당성을 확보(국가 예산 투입 위한 명확한 건립 필요성·방향·인프라 구성 요소·규모 등)할 것을 제시했다.
특히 고 대표는 “건립 추진을 위해선 주무부처 및 지자체·지역주민과의 사전 이슈 점검 및 공감대 확보가 중요하고, 더불어 명확한 한의약 특화 임상연구플랫폼 기획과 제공서비스 차별화가 요구된다”면서 사전 기획으로 △준비사항 점검(사전 핵심 이슈사항 점검·제시) △자문·기획 위원회 운영(차별적 연구 주제 및 서비스 제시) △부처 협의 공감대 확보(국가 예산 확보·지원을 위한 필요성·시급성 제시) △지역 공감대를 확보(지역이 수용 가능한 사회적·경제적 편익 제시) 등을 제안했다.
고 대표는 “한의신약 신기술력 확보, 전통의약 기반 바이오텍의 성장, 한의약 전문생산인력 확보 및 일자리 창출 등 다양한 기술적·경제적·사회적 기대효과도 볼 수 있다는 오송센터의 핵심 콘셉트 확보가 필요하다”며 “아울러 오송센터 구축 및 산·학·연·병 연계를 통해 기존 오송 바이오 클러스터의 전주기 기능 및 임상실증 수행 여건을 강화하고, 한방특화 신약·의료기기 개발과 한의약 서비스 제공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및 지역 의료서비스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