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11.8℃
  • 구름많음속초7.0℃
  • 구름많음4.9℃
  • 흐림철원1.9℃
  • 구름많음동두천5.5℃
  • 구름많음파주6.3℃
  • 구름많음대관령-0.9℃
  • 구름많음춘천5.2℃
  • 구름많음백령도5.9℃
  • 비북강릉6.3℃
  • 구름많음강릉7.2℃
  • 구름조금동해7.1℃
  • 구름많음서울6.1℃
  • 구름많음인천5.8℃
  • 구름많음원주5.1℃
  • 구름조금울릉도8.8℃
  • 구름조금수원6.8℃
  • 구름많음영월3.0℃
  • 흐림충주5.1℃
  • 구름많음서산5.9℃
  • 맑음울진9.3℃
  • 비청주6.5℃
  • 비대전6.1℃
  • 구름많음추풍령6.1℃
  • 구름조금안동7.3℃
  • 구름많음상주7.5℃
  • 맑음포항11.6℃
  • 구름많음군산7.9℃
  • 구름조금대구11.0℃
  • 구름많음전주8.5℃
  • 구름조금울산11.0℃
  • 구름조금창원11.7℃
  • 구름조금광주8.9℃
  • 맑음부산11.4℃
  • 맑음통영11.1℃
  • 구름조금목포9.1℃
  • 맑음여수10.2℃
  • 구름많음흑산도8.6℃
  • 맑음완도9.9℃
  • 구름많음고창7.7℃
  • 구름많음순천7.5℃
  • 비홍성(예)5.9℃
  • 흐림6.9℃
  • 구름조금제주11.3℃
  • 맑음고산10.2℃
  • 맑음성산11.3℃
  • 맑음서귀포11.0℃
  • 맑음진주10.4℃
  • 구름많음강화5.6℃
  • 구름많음양평6.6℃
  • 구름많음이천6.6℃
  • 구름많음인제3.7℃
  • 구름많음홍천4.3℃
  • 흐림태백1.6℃
  • 흐림정선군1.3℃
  • 구름많음제천2.4℃
  • 흐림보은6.2℃
  • 흐림천안6.3℃
  • 흐림보령6.7℃
  • 구름많음부여6.9℃
  • 흐림금산6.8℃
  • 흐림6.0℃
  • 흐림부안8.7℃
  • 구름많음임실7.4℃
  • 흐림정읍7.8℃
  • 구름많음남원8.5℃
  • 흐림장수4.9℃
  • 흐림고창군8.0℃
  • 구름많음영광군8.4℃
  • 구름조금김해시10.8℃
  • 구름많음순창군8.1℃
  • 구름조금북창원12.0℃
  • 구름조금양산시11.7℃
  • 구름조금보성군9.3℃
  • 맑음강진군10.0℃
  • 구름조금장흥9.5℃
  • 맑음해남9.4℃
  • 구름조금고흥9.7℃
  • 맑음의령군11.4℃
  • 구름많음함양군8.6℃
  • 맑음광양시9.9℃
  • 맑음진도군9.1℃
  • 흐림봉화4.7℃
  • 구름많음영주4.7℃
  • 구름많음문경5.1℃
  • 맑음청송군8.4℃
  • 맑음영덕10.4℃
  • 구름많음의성9.2℃
  • 구름조금구미9.6℃
  • 맑음영천10.9℃
  • 맑음경주시11.7℃
  • 구름많음거창8.2℃
  • 맑음합천10.6℃
  • 구름많음밀양11.9℃
  • 구름조금산청8.8℃
  • 맑음거제11.0℃
  • 맑음남해10.0℃
  • 구름조금11.8℃
  • 구름많음속초7.0℃
기상청 제공

2025년 04월 13일 (일)

신간

여과경륜 신해(女科經綸 新解)

  • 작성자 : 한의신문
  • 작성일 : 06-12-15 09:00
  • 조회수 : 788
B0082006121532407-1.jpg

청대(淸代) 학술사상과 의학사상 연구를 반영한 대표적인 부인과 서적인 ‘여과경륜(女科經綸)’이 번역, 출판돼 관심을 끌고 있다. 김동일 교수(동국대 일산한방병원 여성의학과 과장/대한한방부인과학회 학술이사)와 김민성 원장(본디올 분당한의원장/대한형상의학회 교육이사)이 공동 번역한 ‘여과경륜신해(女科經綸 新解)’는 청나라 강희(康熙) 23년(서기 1684년) 7월에 청대(淸代)의 명의였던 소훈(蕭塤)에 의해 엮어진 대표적인 부인과 서적이다. 이 책은 총 8권(卷), 7문(門)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7문(門)은 월경, 사육, 태전, 산후, 붕루, 대하, 잡증(月經, 嗣育, 胎前, 産後, 崩漏, 帶下, 雜證) 등이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부인과와 산과 영역의 경ㆍ대ㆍ태ㆍ산(經ㆍ帶ㆍ胎ㆍ産)을 총 망라한 부인과 전문서적으로 볼 수 있다. ‘여과경륜(女科經綸)’은 총 80명의 의가(醫家)와 총 48편의 의서(醫書)가 인용되어 있는데 그 중에 진자명(陳自明)의 ‘부인대전량방(婦人大全良方)’과 설립재(薛立齋)의 ‘교주부인량방(校注婦人良方)’을 근간으로 하여 편찬되어진 것으로 보여 지며, 의론에 있어서도 설립재(薛立齋)의 의론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네티즌 의견 0

가장 많이 본 뉴스

더보기

최신뉴스

더보기

동영상

더보기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