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8.9℃
  • 구름많음속초6.7℃
  • 비3.6℃
  • 흐림철원0.4℃
  • 흐림동두천5.0℃
  • 흐림파주5.4℃
  • 맑음대관령-1.3℃
  • 흐림춘천5.0℃
  • 구름많음백령도6.6℃
  • 맑음북강릉5.0℃
  • 맑음강릉6.4℃
  • 구름조금동해5.5℃
  • 흐림서울5.8℃
  • 흐림인천5.9℃
  • 구름많음원주3.5℃
  • 구름조금울릉도7.3℃
  • 흐림수원5.2℃
  • 맑음영월0.7℃
  • 구름조금충주3.7℃
  • 흐림서산5.2℃
  • 구름조금울진6.2℃
  • 구름많음청주5.6℃
  • 구름많음대전5.0℃
  • 맑음추풍령3.0℃
  • 맑음안동4.8℃
  • 맑음상주4.5℃
  • 맑음포항8.6℃
  • 맑음군산6.6℃
  • 맑음대구7.9℃
  • 맑음전주6.2℃
  • 구름조금울산8.0℃
  • 맑음창원7.5℃
  • 맑음광주6.8℃
  • 맑음부산8.7℃
  • 맑음통영8.4℃
  • 맑음목포7.0℃
  • 맑음여수7.8℃
  • 맑음흑산도5.9℃
  • 구름많음완도6.3℃
  • 맑음고창4.4℃
  • 맑음순천4.2℃
  • 흐림홍성(예)4.1℃
  • 구름많음5.6℃
  • 구름조금제주9.2℃
  • 구름많음고산10.0℃
  • 구름조금성산6.2℃
  • 맑음서귀포8.2℃
  • 맑음진주6.9℃
  • 흐림강화6.0℃
  • 구름많음양평4.9℃
  • 흐림이천4.5℃
  • 구름많음인제3.4℃
  • 구름많음홍천4.2℃
  • 흐림태백0.5℃
  • 맑음정선군1.5℃
  • 구름조금제천0.6℃
  • 맑음보은3.2℃
  • 구름많음천안3.8℃
  • 구름조금보령3.9℃
  • 맑음부여2.7℃
  • 맑음금산5.8℃
  • 구름조금4.4℃
  • 맑음부안5.2℃
  • 맑음임실2.6℃
  • 맑음정읍5.6℃
  • 맑음남원4.0℃
  • 맑음장수2.9℃
  • 맑음고창군5.5℃
  • 맑음영광군6.3℃
  • 맑음김해시8.2℃
  • 맑음순창군3.7℃
  • 맑음북창원8.7℃
  • 맑음양산시8.9℃
  • 맑음보성군3.3℃
  • 맑음강진군4.2℃
  • 맑음장흥4.0℃
  • 구름조금해남3.1℃
  • 맑음고흥6.3℃
  • 맑음의령군8.1℃
  • 맑음함양군4.9℃
  • 맑음광양시6.2℃
  • 구름많음진도군4.6℃
  • 구름조금봉화2.4℃
  • 구름많음영주2.9℃
  • 맑음문경4.0℃
  • 구름많음청송군4.8℃
  • 맑음영덕6.5℃
  • 구름많음의성6.3℃
  • 맑음구미5.8℃
  • 맑음영천7.1℃
  • 맑음경주시7.7℃
  • 맑음거창4.1℃
  • 맑음합천7.7℃
  • 구름많음밀양7.9℃
  • 맑음산청5.6℃
  • 맑음거제8.3℃
  • 맑음남해7.4℃
  • 맑음8.9℃
  • 구름많음속초6.7℃
기상청 제공

2025년 04월 13일 (일)

신간

한방내과 임상콘퍼런스

  • 작성자 : 한의신문
  • 작성일 : 18-04-06 15:21
  • 조회수 : 962
임상 콘퍼런스◯ <책 소개> 의료 통섭을 말하다. “종합진료과, GENERAL PRACTITIONER (GP)”가 개설되기 시작했다. 너무도 지나치게 전문화, 세분화된 현대 의료 시장 속에서 탄생한 종합진료과는 전인적으로 인간을 다루며, 특정 장기나 질환에 국한되지 않고 다각적 다면적 진료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싹트기 시작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환자뿐 아니라 의료인들로서도 환영해야만 할 일이다. 한방의학은 이 종합진료과와 유사한 의료 진단 치료 행위를 가지고 있다. 여러 질환이 병존하여 특정 전문진료과 만으로 대응하기 어려울 때 이 종합진료과가 존재 의의를 가지기 때문이다. 다만 종합진료과는 어디까지나 서양의학적 병태인식 속에서 각각 세분화된 질병의 기본적 아이덴티티(IDENTITY)에 따라 진단과 치료를 수행한다. 또한 종합진료과는 ‘불명열’처럼 원인을 잘 모르는 질병 치료에 장점을 보이긴 하지만, 진료 시 근거기반의학(EBM) 개념이 꼭 필요하다. 다만 이러한 측면에만 기초한 서양의학은 원인을 알 수 없는 질병 치료엔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반면 한방의학은 똑같이 다양한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을 치료할 때, 각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는 방식으로 대응하지 않는다. 서양의학적 문맥에서는 원인 불명인 신체적, 정신적 불편감이더라도 한방의학적 원인 분석을 통해 병태로 인식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 책은 전문의들이 한약으로 각자의 의견을 나눈 내용이 담겨 있다. ◯ <출판사 리뷰> 똑같이 한방의학을 하고 있더라도 각자의 입장에 따라 전문 용어의 정의, 병태 인식 등에 다소 차이가 있다. 일본식 한방의학을 배운 저자(의사)에게 중의학 용어는 더욱 이해하기 어렵게 느껴지곤 하지 않나 싶다. 이렇게 다른 용어의 정의가 제대로 된 콘퍼런스가 진행되는데 장벽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그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이 책에서는 천학비재(淺學菲才)라는 비난을 감수하고라도, 저자가 일본에서 공부한 한방의학과 중국 유학 시 배운 중의학을 기본으로 하여 서양의학을 연결하고자 하는 입장에서 코멘트를 달아두었다. 한방의학이 어떤 기본 이론을 가지고 있으며, 한방약이 어떤 병태를 대상으로 한 약효를 가지고 있는 가를 알리고자 했다. 한방의학에 숙달된 선생님들 대부분이 공감할 수 있는 공통의 이론을 토대로 한방약 선택 방법을 서술했다. 다만 입문서인 이러한 책만 읽어서는 한방약의 정수에 도달하기 어렵다. 임상 현장에서는 좀처럼 이론에 딱 맞는 증례는 만날 수 없다. 그래서 한방의학을 또는 한방약을 임상 현장에서 활용하고 싶어 하는 선생님들에게는 뭔가 부족한 점이 있지 않을까하여 꼭 임상에 딱 맞는 이 응용편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임상 의학 수련에는 어느 정도 역동감과 신선도가 필요하다. 저자가 사이트를 개설, 10년의 기록을 책으로 엮었다. 단순하게 연습 문제의 답을 찾는 것이 아니라 콘퍼런스 형식을 가져와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한방약을 선택해 가는 가를 명확히 전달하려 했다. 매달 저자가 증례를 연습 문제로 제시하고, 회원들이 그 증례에 대해 콘퍼런스 형식으로 정답에 가까워지게끔 유도하는 형식이다. 사실 여러 초보자들의 고충과 답변을 주로 다루려던 것이 이 사이트의 가장 큰 목적이었지만, 한방의학에 숙련된 선생님들 뿐 아니라 변증론치를 제대로 다루기도 하여, 서양의학, 한방의학의 담장을 뛰어넘는 매우 다채로운 콘퍼런스가 되었다. ◯ 들어가며 증례와 콘퍼런스 제1회 구역, 구토 (72세, 여성) 제2회 발열 (23세, 여성) 제3회 딸꾹질 (85세, 남성) 제4회 열감, 전신권태감 (50세, 여성) 제5회 구내염 (41세, 여성) 제6회 변비 (16세, 여성) 제7회 음부소양감 (52세, 여성) 제8회 발열 (23세, 여성) 제9회 두통 (68세, 남성) 제10회 복통, 흉복부 냉증 (50세, 여성) 제11회 인후통, 물을 마시면 구토, 침이 입에 고인다 (70세, 여성) 제12회 오한, 전신권태감, 구강건조, 이명 (76세, 여성) 제13회 무월경, 여드름 (26세, 여성) 제14회 구역, 구토, 두통 (58세, 여성) 제15회 어지러움 (75세, 여성) 제16회 미열 (35세, 여성) 제17회 방광에 소변이 모이면 회음부에 격심한 통증 (79세, 남성) 제18회 어지러움 (38세, 여성) 제19회 빈맥, 손가락 떨림, 발한이상, 체중감소 (18세, 여성) 제20회 인두통 (62세, 여성) 제21회 식후 물 같은 변 (45세, 남성) 제22회 발열과 권태감 (69세, 남성) 제23회 전신의 빨개짐과 몸의 흔들리는 느낌 (78세, 남성) 제24회 전신권태감과 전신부종 (54세, 여성) 제25회 두통 (56세, 여성) 제26회 발작성 두근거림 (44세, 여성) 제27회 두통, 불면 (23세, 여성) 제28회 두통, 구토 (29세, 남성) 제29회 서혜부 통증 (52세, 여성) 제30회 만성 설사 (25세, 여성) 제31회 후각 장애 (52세, 여성) 제32회 두근거림과 함께 발생한 전신의 소구진 (56세, 여성) 제33회 하복통 (75세, 여성) 제34회 건조하면 인후부가 아프다 (20세, 여성) 제35회 위통 (60세, 여성) 제36회 저체온(34.9~35.5℃) (38세, 남성) 제37회 연변과 복통 (40세, 여성) 제38회 이명 (59세, 여성) 제39회 이명 (64세, 여성) 제40회 족저부 작열감 (55세, 여성) 제41회 다발성 관절염 (85세, 여성) 제42회 야간 기침 (78세, 남성) 제43회 눈물분비과다, 재채기, 콧물 (61세, 남성) 제44회 전신 가려움 (72세, 남성) 제45회 타박 (60세, 여성) 제46회 불안감 (55세, 여성) 제47회 상한과 발열 (54세, 여성) 제48회 빈맥발작 (63세, 여성) 제49회 미열 (40세, 여성) 제50회 상복통 (33세, 여성) 정답 / 해설 / 질의 역자 후기 ◯ 저자 소개: 오노 슈지 [약력] 1973년 메이지약과대학 제약학과 졸업 1980년 사이타마의과대학 의학부 졸업 동대학병원에서 내과 수련 1990년 의학박사 취득 1990~1991년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 타이위안시 산시성인민의원 중의과 유학 1993년 사이타마의과대학 2내과 강사 1996년 오노클리닉 개업, 원장 2001년6월~2005년5월 일본동양의학회 부회장 2016년 4월 제18회 국제동양의학회 학술대회 회두 현재 오노클리닉 원장(의) 평선회 이사장 일본동양의학회 감사 국제동양의학회 이사 메이지약과대학 객원교수 사이타마의과대학 제2내과 비상근강사 ◯역자 소개: 권승원 [약력]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과 한방순환신경내과학 교실 조교수 학회활동 대한한의학회 회원 대한한방내과학회 회원 대한중풍순환신경학회 회원 일본동양의학회 특별회원 전문분야 한방내과(순환, 신경계) 역서 플로차트 한약치료 (청홍) 간단한방처방 (청홍) 간단한방철칙 (청홍) 경락경혈 103 ?치료혈을 말하다- (청홍) 등 다수 ◯ 출 판 청홍(서울 용산구/02-3453-6111) 페이지 333/판형 규격외 변형/가격: 25,200원

네티즌 의견 0

가장 많이 본 뉴스

더보기

최신뉴스

더보기

동영상

더보기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