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14.7℃
  • 흐림속초10.3℃
  • 비15.6℃
  • 흐림철원16.6℃
  • 흐림동두천16.7℃
  • 흐림파주16.2℃
  • 흐림대관령12.2℃
  • 흐림춘천15.4℃
  • 비백령도11.6℃
  • 흐림북강릉12.0℃
  • 흐림강릉12.4℃
  • 흐림동해11.8℃
  • 비서울19.2℃
  • 비인천17.3℃
  • 흐림원주17.2℃
  • 맑음울릉도12.1℃
  • 비수원18.5℃
  • 흐림영월13.9℃
  • 흐림충주16.5℃
  • 흐림서산17.1℃
  • 흐림울진12.5℃
  • 비청주19.3℃
  • 흐림대전18.7℃
  • 흐림추풍령13.9℃
  • 흐림안동13.8℃
  • 흐림상주14.8℃
  • 흐림포항14.1℃
  • 흐림군산18.3℃
  • 비대구13.3℃
  • 비전주17.6℃
  • 흐림울산12.5℃
  • 비창원13.4℃
  • 비광주16.3℃
  • 비부산15.0℃
  • 흐림통영13.6℃
  • 비목포16.6℃
  • 비여수14.3℃
  • 비흑산도13.2℃
  • 흐림완도14.8℃
  • 흐림고창16.3℃
  • 흐림순천12.9℃
  • 흐림홍성(예)18.4℃
  • 흐림18.1℃
  • 비제주19.5℃
  • 흐림고산18.4℃
  • 흐림성산17.1℃
  • 비서귀포18.7℃
  • 흐림진주12.6℃
  • 흐림강화16.0℃
  • 흐림양평16.2℃
  • 흐림이천16.7℃
  • 흐림인제14.6℃
  • 흐림홍천15.3℃
  • 흐림태백13.7℃
  • 흐림정선군13.1℃
  • 흐림제천14.6℃
  • 흐림보은15.3℃
  • 흐림천안17.5℃
  • 흐림보령20.4℃
  • 흐림부여17.9℃
  • 흐림금산16.5℃
  • 흐림18.2℃
  • 흐림부안16.9℃
  • 흐림임실15.5℃
  • 흐림정읍17.4℃
  • 흐림남원15.6℃
  • 흐림장수14.7℃
  • 흐림고창군16.5℃
  • 흐림영광군15.8℃
  • 흐림김해시14.4℃
  • 흐림순창군15.7℃
  • 흐림북창원15.1℃
  • 흐림양산시14.4℃
  • 흐림보성군14.1℃
  • 흐림강진군15.2℃
  • 흐림장흥14.9℃
  • 흐림해남16.0℃
  • 흐림고흥14.6℃
  • 흐림의령군13.9℃
  • 흐림함양군14.3℃
  • 흐림광양시13.4℃
  • 흐림진도군17.3℃
  • 흐림봉화11.1℃
  • 흐림영주13.3℃
  • 흐림문경14.4℃
  • 흐림청송군10.7℃
  • 흐림영덕11.3℃
  • 흐림의성13.5℃
  • 흐림구미16.1℃
  • 흐림영천11.6℃
  • 흐림경주시11.6℃
  • 흐림거창13.7℃
  • 흐림합천13.9℃
  • 흐림밀양14.5℃
  • 흐림산청13.8℃
  • 흐림거제13.6℃
  • 흐림남해13.6℃
  • 비14.7℃
  • 흐림속초10.3℃
기상청 제공

2025년 04월 22일 (화)

신간

<침구의학의 뿌리>

  • 작성자 : 한의신문
  • 작성일 : 04-04-19 16:16
  • 조회수 : 757
B0082004041958570.jpg

<침구의학의 뿌리>는 가장 오래된 경혈학 전문서적이며 침구학이 하나의 학문체계로 정립되어 발전하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황제삼부침구갑을경>의 혈위 관련 기술 즉 <명당공혈침구치요(明堂孔穴鍼灸治要)>의 내용을 현대의 임상가와 연구자들이 참고하기에 편리하도록 정리한 책입니다. <명당공혈침구치요>는 대략 BC 2세기에서 AD 1세기 사이의 문헌으로 추정되며, 14개 經脈과 361개 正經穴位를 중심으로 하는 오늘날의 표준 경락혈위 체계는 이 책에서 이미 상당부분의 내용과 형식이 마련되었고 이후의 모든 경락과 혈위 관련 학문, 각 분과의 임상학문은 사실상 이 책의 토대 위에 전개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349개 혈위의 위치, 소속경락, 특성, 주치증 등의 내용이 체계적으로 제시됨으로써 임상과 이론연구에 현실적 구체성을 제공했으며 침구학이 추상적인 이론으로 빠지지 않고 임상현장에서의 경험과 상호작용하며 계속 발전해갈 수 있는 굳건한 토대를 제시했습니다. <침구의학의 뿌리>는 <황제삼부침구갑을경>을 비롯한 고문헌을 1차문헌을 통해 상세히 고증했으며 각 혈위의 위치, 소속경락, 특성, 침구를 시술하는 방법, 주치증 등의 내용을 간편하게 참고할 수 있도록 정리하고 특히 주치증 부분은 임상현장에서의 활용에 도움이 되도록 전신적인 조절작용, 경락계통의 조절작용, 국소병증, 특정병증 등으로 분류해 제시했습니다. 옛 사람들이 말한 경락이나 혈위의 원형적 핵심을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아울러 발전된 미래를 위한 연구를 하는 데에 여러 임상가와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엮음: 고형균, 인창식 출판사: 경희대학교 출판국 (전화: 02-961-0106, 0107) 출판일: 2004년 4월 판형: 양장본 B5, 250 쪽

네티즌 의견 0

가장 많이 본 뉴스

더보기

최신뉴스

더보기

동영상

더보기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