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신문] “한약 이용군과 비이용군 간에는 연령, 지역, 소득, 만성질환 유무, 실손 의료보험 가입여부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한약 이용군의 주된 치료 목적은 통증 또는 불편감의 원인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다.”
이는 고려대 대학원 보건정책관리학과 박사과정 박소현(지도교수 최만규)과 김준호 원장(톡바른경희한의원 성북점 대표원장)이 대한한의학회지 제45권 제3호(2024년 9월)에 발표한 ‘한약 이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2020년 한국의료패널을 중심으로’를 주제로 한 논문에 따른 것이다.
이 논문에서 저자들은 한약 이용군과 비이용군 간의 차이점을 연령, 지역, 소득, 만성질환 유무, 실손의료보험 가입 여부 등을 비롯 어떤 치료목적으로 한의의료기관을 방문하고, 주요 질환은 무엇인지 등을 분석했다.
그동안 한약 복용 의향의 결정요인에 관한 주요 연구로는 한방의료이용 및 한약소비실태조사를 활용한 질환별 한방치료 효과 인식에 따른 한약 복용 결정요인 연구, 첩약 복용 의향의 결정요인 연구 등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한약 복용 의향의 결정 요인 연구는 대부분 2017년과 2020년에 발표된 한방의료이용 및 한약소비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이뤄지고 있다.
의료패널 데이터 활용, 한약 이용 경향성 분석
이에 저자들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공동으로 실시하고 관리하는 전국단위 설문조사로 이뤄진 2020년 한국의료패널 데이터를 이용해 한약 이용의 경향성을 분석하고, 한약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각적으로 파악했다.
한국의료패널의 연간데이터 대상자 수는 2020년을 기준으로 가구원 1만3,530명이며 이번 연구에서는 2020년도 대상자 중 지난 1년간 외래 진료영역 중 한방진료서비스를 1회 이상 받았다고 응답한 2,524명을 대상으로 했다.
또한 이들 중 한방 치료항목으로 ‘첩약 또는 탕약’ 항목의 응답에 따라 한약 이용 경험이 있는 한약 이용군 525명, 이용 경험이 없는 한약 비이용군 1,999명으로 그룹을 분류했으며, 가구원 단위로 중복을 제거하여 패널 데이터를 구축하여 분석했다.
특히 한약 이용군과 비이용군 그룹의 기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의료패널 설문지에 기입된 응답을 바탕으로 연령, 교육수준, 성별, 거주지역, 연간 총 가구소득, 장애유무, 만성질환 유무, 만성질환 이환 수를 정리했으며 가입된 보험의 유형, 민간보험 유무, 민간보험의 개수, 실손 의료보험 가입여부, 상용치료원의 유무, 주관적 건강 수준을 함께 분석했다.
한약 이용군 비율은 서울, 경기, 인천이 가장 높아
이 같은 연구 방법에 따라 한약 이용 여부를 연령별로 분석한 결과, 한약 이용군의 연령은 53.30±22.28세, 한약 비이용군의 연령은 58.25±17.54세로 그룹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성별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약 이용군의 지역별 비율은 서울/경기/인천 지역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부산/대구/울산/경상 지역이었으며, 이후에는 대전/충청/세종/광주/전라/제주/강원 등의 순서로 이용률이 높았다.
한약 이용군과 한약 비이용군의 평균 연간 가구 총 소득은 각각 5599.55±5061.2, 4752.02±3965.29(만원 단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교육수준, 건강보험 가입유형에 따라서는 한약 이용군, 비이용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질환 유무와 실손 의료보험 가입여부에 따라서는 한약 이용군과 비이용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반면에 주관적 건강 수준과 상용치료원의 유무, 민간 건강보험 유무, 민간 건강보험의 개수에 따라서는 한약 이용군과 비이용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한약 이용군의 의료이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한약이용군의 주된 치료 목적은 통증 또는 불편감의 원인 진단 및 치료를 위함이었으며(72%), 그 다음으로는 예방적 건강관리가 가장 많았다(21.14%).
한약이용군의 외래 관련 주 질환으로는 기타 응답 외에 관절 질환이 가장 많았으며 기타 관절 장애(골반, 팔꿈치, 척추 등) 24%, 관절염(류마티스 관절염, 퇴행성관절염) 8.57%, 어깨관절질환(오십견, 회전근개등) 3.43%, 척추 디스크장애(경추, 요추)가 4%로 근골격계 질환이 가장 많았다.
한약 외에 이용한 한방 의료이용은 침 치료가 가장 많았으며(62.48%), 그 외에 추나요법, 도수치료 외 물리치료(52.95%), 약침(9.90%), 뜸(5.90%), 부항(5.71%) 등이 있었다.
또한 앤더슨의 의료서비스 이용모델을 사용하여 한약이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한약 이용군과 한약 비이용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됐던 선행요인은 연령, 지역이었고, 가능요인은 연간 가구 총소득이었으며, 욕구요인은 만성질환 유무, 만성질환의 이환수였다.
이용 현황 분석, 한방의료 정책 수립에 필수
이와 관련 김준호 원장은 “의료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에는 다양한 복잡성이 존재하므로, 의료패널의 조사항목 외에도 개인 수준에서 많은 요인들이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원장은 이어 “이번 연구는 한약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한약 이용군의 특성과 현황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면서 “한방의료를 이용하는 사람의 행태를 파악하고 이용을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은 한방의료 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원장은 또 “이원화된 한국의 의료체계에서 한방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폭넓게 이뤄지고 있다”면서 “첩약 시범사업이 한약을 제도권 내에 편입시키고 한약 치료의 대중화를 목표로 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한약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후속 연구를 진행한다면 단편적인 정책적 과제를 넘어 개인의 건강 문제와 보건의료정책의 방향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