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12.0℃
  • 구름많음속초6.9℃
  • 비5.8℃
  • 흐림철원5.6℃
  • 흐림동두천6.1℃
  • 흐림파주6.0℃
  • 흐림대관령2.9℃
  • 흐림춘천6.0℃
  • 흐림백령도5.5℃
  • 비북강릉6.4℃
  • 흐림강릉8.8℃
  • 구름많음동해9.0℃
  • 비서울7.6℃
  • 안개인천7.4℃
  • 흐림원주7.0℃
  • 흐림울릉도9.4℃
  • 비수원7.6℃
  • 흐림영월7.2℃
  • 구름많음충주9.8℃
  • 구름많음서산6.8℃
  • 구름조금울진9.0℃
  • 흐림청주10.3℃
  • 비대전10.1℃
  • 흐림추풍령8.6℃
  • 비안동9.3℃
  • 흐림상주9.5℃
  • 맑음포항12.2℃
  • 흐림군산8.3℃
  • 구름많음대구12.8℃
  • 흐림전주9.9℃
  • 맑음울산11.2℃
  • 맑음창원9.7℃
  • 비광주11.0℃
  • 맑음부산11.6℃
  • 구름조금통영11.3℃
  • 구름조금목포9.9℃
  • 맑음여수11.2℃
  • 맑음흑산도8.0℃
  • 구름많음완도11.7℃
  • 맑음고창8.5℃
  • 구름많음순천10.1℃
  • 구름많음홍성(예)7.7℃
  • 맑음10.5℃
  • 맑음제주13.2℃
  • 맑음고산12.1℃
  • 맑음성산12.9℃
  • 맑음서귀포12.1℃
  • 맑음진주11.0℃
  • 구름많음강화7.2℃
  • 흐림양평8.0℃
  • 흐림이천8.5℃
  • 흐림인제5.4℃
  • 흐림홍천6.4℃
  • 흐림태백5.4℃
  • 흐림정선군5.6℃
  • 흐림제천6.7℃
  • 구름조금보은9.8℃
  • 구름조금천안9.5℃
  • 흐림보령7.1℃
  • 맑음부여8.7℃
  • 맑음금산10.2℃
  • 구름조금9.1℃
  • 맑음부안9.5℃
  • 맑음임실10.2℃
  • 구름많음정읍9.4℃
  • 구름조금남원11.1℃
  • 흐림장수9.0℃
  • 구름많음고창군9.3℃
  • 맑음영광군8.8℃
  • 맑음김해시11.0℃
  • 맑음순창군10.7℃
  • 맑음북창원11.1℃
  • 맑음양산시12.0℃
  • 맑음보성군11.9℃
  • 흐림강진군11.9℃
  • 구름많음장흥12.1℃
  • 흐림해남11.1℃
  • 맑음고흥11.4℃
  • 맑음의령군11.8℃
  • 구름많음함양군11.4℃
  • 구름조금광양시11.9℃
  • 구름많음진도군10.4℃
  • 흐림봉화6.4℃
  • 흐림영주7.8℃
  • 흐림문경8.9℃
  • 구름많음청송군8.5℃
  • 구름조금영덕9.0℃
  • 구름많음의성9.7℃
  • 구름조금구미10.5℃
  • 맑음영천10.3℃
  • 맑음경주시11.1℃
  • 구름많음거창10.1℃
  • 맑음합천10.5℃
  • 구름많음밀양11.9℃
  • 맑음산청9.1℃
  • 구름조금거제11.5℃
  • 맑음남해11.7℃
  • 맑음12.0℃
  • 구름많음속초6.9℃
기상청 제공

2025년 04월 05일 (토)

한의학에서 바라본 겨울철 별미 ‘과메기’의 효능은?

한의학에서 바라본 겨울철 별미 ‘과메기’의 효능은?

꽁치 등과 같은 등푸른 생선은 겨울 환절기에 기운 보하는 효과

[사진설명] 과메기.jpg

 

해풍이 차가워질수록 제철을 맞는 ‘과메기’가 본격적으로 우리의 식탁에 오르고 있다. 특유의 쫀득하면서도 고소한 맛이 일품인 과메기는 11월 무렵부터 많은 사람들의 반찬 혹은 술안주로 사랑받는다.

 

과메기는 건조 과정에서 해풍에 얼고 녹기를 반복하며 독특한 식감을 내는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경상북도 포항시 구룡포는 백두대간에서 불어오는 북서풍과 해풍이 만나 과메기를 말리기 위한 최적의 기온과 환경을 갖추고 있어 독보적인 과메기 특산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과메기의 어원은 청어의 눈을 꿰어 건조시켰다는 의미인 ‘관목(貫目)’이다. 관목이 시간이 지나 사투리로 변해 지금의 과메기로 굳어진 것이다. 하지만 1960년대 이후 청어 수확량이 크게 줄어들면서 현재 우리가 접하는 과메기는 꽁치가 주류다. 꽁치 과메기도 기존과 동일한 방식으로 바닷바람에 건조시키는데, 이에 청어 과메기와 마찬가지로 영양과 맛 모두 뛰어난 겨울철 별미로 통한다. 또한 기호에 따라 다시마, 배추, 마늘 등과 함께 먹으면 풍미가 배로 더해져 곁들이는 식재료도 무척이나 다양하다. 

 

이와 함께 과메기의 주재료인 꽁치는 칼 모양의 가을 물고기라는 뜻의 추도어(秋刀魚), 밝은 빛을 쫓는 습성이 있다고 하여 추광어(秋光魚)라고도 불린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꽁치는 늦가을을 대표하는 수산물로서 산란을 앞둔 요즘 맛과 영양이 가장 풍부하다. 

 

[사진설명] 대전자생한방병원 김순아 원장.jpg

 

대전자생한방병원 김순아 원장(사진)은 “한의학적으로 꽁치는 명확히 정의된 바 없지만 삼치와 청어 등 비슷한 겨울철 등푸른 생선들의 효능을 통해 그 성질을 유추해 볼 수 있다”면서 “삼치와 청어는 성질이 평(平)해 누구에게나 부담이 없고 큰 일교차로 자칫 허해지기 쉬운 겨울 환절기에 기운을 보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공통점을 갖는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꽁치에는 DHA, EPA 등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데, 과메기로 숙성되는 과정에서 함량이 더욱 증가해 노화 방지와 체력 강화, 뇌 기능 향상 등에 효과적”이라며 “더불어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피로와 간 회복에 도움을 주는 아스파라긴산 성분도 많이 함유돼 있다”고 밝혔다. 

 

또 과메기에 다시마, 미역, 김 등 해조류가 곁들여진다면 효능은 더욱 높아진다. 해조류에 풍부한 알긴산 성분은 체내 중성지방 수치를 낮춰주고 소화와 혈액순환을 도와 기름진 과메기와 궁합이 좋기 때문이다. 실제 다시마는 동의보감에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얼굴이 부은 것을 가라앉히며 기가 뭉친 것을 치료한다’고 기록돼 있기도 하다.

 

만약 과메기 특유의 비린 맛에 거부감이 있다면 마늘과 함께 섭취하는 것을 추천한다. 마늘의 매운맛은 과메기의 비린 맛을 중화해주며 알리신 성분은 비타민B1 흡수를 도와준다. 한의학적으로도 마늘은 위장을 따뜻하게 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찬 성질의 해조류와 균형 잡힌 조화를 이룬다. 

 

김순아 원장은 “‘꽁치는 서리가 내려야 제맛이 난다’는 말이 있듯 과메기가 더욱 기름지고 고소해지는 시기가 다가오고 있다”며 “제철 맞은 과메기로 맛있는 한 상을 푸짐하게 즐기는 것도 좋지만 퓨린의 함량이 높아 요산 수치가 높거나 통풍이 있을 경우 섭취에 주의를 기울이는 편이 좋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가장 많이 본 뉴스

더보기

최신뉴스

더보기

동영상

더보기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