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협-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서울시당 정책간담회(20일)
[한의신문=김대영 기자] 당뇨병으로 진단을 받은 환자가 해마다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20대 당뇨병 환자 수가 5년 새 51.4%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건강검진에 당뇨병 환자를 위한 선별검사 항목을 포함하는 등 보건당국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11일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전남 목포시)에 따르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2015~2020.6.) 당뇨병으로 진료를 받은 국민은 전체 1723만명, 진료비만 12.7조원을 지출했다.
최근 5년간(2015~2019년) 당뇨병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253만명에서 322만명으로 69만명(27.7%)이 증가했으며 진료비는 같은기간 약 1조8000억원에서 9000억원(50.6%) 이상 늘어난 약 2조 7000억원이었다.
당뇨병 진료 환자는 남성이 여성보다 많았고 50대 이후 연령층이 가장 많았는데 2019년 기준으로 50대 이상 당뇨병 환자는 274만명으로 전체 연령층의 85%를 차지했다.
주목할 점은 최근 5년간 당뇨병 환자의 20대 증가율이 크게 늘었다는 점이다.
20대 당뇨병 환자는 연간 약 11%씩 증가세를 보이며 5년간 51.4%의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당뇨병을 조기에 검진하고 예방할 수 있는 건강검진 수검률은 2019년 기준 2000만명 대상자 중 1618만명(75%)으로 다소 낮았다.
그중 생활능력이 어려운 의료급여수급권자는 절반에도 못 미치는 38%의 수검률로 총 63만명 중 24만명만이 검사를 받았다.
당뇨병은 초기에 특별한 건강 이상 증상이 없고 발생하더라도 가벼운 피로감으로 느끼기 때문에 그냥 지나치기 쉬운 질환이지만 당뇨성 합병증 유발로 생명의 위협까지 줄 수 있는 질병이다.
합병증에 대한 정보 부족과 현재 당뇨성 합병증 검사가 국가건강검진 항목에 포함돼 있지 않아 경제적인 부담으로 당뇨병 환자의 건강검진 수검률이 낮은 것이란 분석이다.
김원이 의원은 ”당뇨병은 완치까지 꽤 오랜 시간이 걸리며 합병증까지 유발할 가능성이 많은 질병임에도 건강검진 수검률은 여전히 낮다“며 “국가차원에서 국가건강검진제도에 당뇨병 환자를 위한 선별검사항목을 포함하는 등의 보건당국의 지원방안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고창군보건소, ‘한방 난임부부 지원 사업’ 시행
“한의학전문대학원 선택과정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동국한의대 동문회, 제3차 동문이사회 ‘성료’
“공공의료의 틀을 한 차원 넓힌 상징적 전환점”
“회원 중심 회무 운영으로 회원들의 목소리 적극 반영”
대한원외탕전협회, 산불 재난 현장에 8천만원 상당 한약 기부
지역사회 공중보건 전문가 양성 고위과정 신설
“5세대 실손보험 도입, 소비자 보호를 위한 방안은?”
한의약과 태권도의 세계화 및 발전 위해 ‘상호 협력’
“한의학으로 어르신의 건강 챙겨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