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협, 제3회 홍보위원회 개최 (5일)
조인정 세무사
연세교토 세무회계 대표
내년 세법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이번호에서는 얼마 전에 발표된 내년 세법개정안에 대해서 알아보자.
1. 경력단절여성 재취업에 대한 세제지원* 확대
(조특법)
* 재고용 기업의 인건비에 대해 2년간 중소 30%·중견 15% 세액공제재취업 여성에 대해 3년간 70% 소득세 감면
ㅇ 경력단절 인정사유에 결혼·자녀교육을 추가하고, 경력단절기간 및 재취업대상 기업 요건 완화
현 행 개 정
경력단절 인정사유 임신·출산·육아 ‘결혼·자녀교육’ 추가
경력단절 기간 퇴직 후 3~10년 이내 퇴직 후 3~15년 이내
재취업 요건 동일기업 동종업종
2. 청년내일채움공제와 내일채움공제 연계자에 대한 세제지원 (조특법)
ㅇ 중소·중견기업 청년재직자 장기근속 지원을 위해 청년내일채움공제 만기 후 내일채움공제 연계 가입시 소득세 50%(중견 30%) 감면 적용
* (현행) 내일채움공제에 5년 이상 납입하면 공제금 수령시 소득세 50%(중견 30%) 감면
(개정) 청년내일채움공제 만기(2·3년) 후 내일채움공제에 연계 가입시 청년내일채움공제 납입기간을 합산하여 내일채움공제 납입기간 계산
3.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 소득공제* 적용기한 연장 등 (조특법)
* 근로자 총급여의 25% 초과 사용한 신용카드 등 결제금액의 15~40% 소득공제
ㅇ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에 대한 소득공제 적용기한 3년 연장
ㅇ 제로페이 활성화를 위해 제로페이 사용분에 40% 공제율을 적용하고, 전통시장 추가 공제한도(100만원)에 제로페이 사용분 포함
4. 1세대 1주택 양도소득 과세특례 합리화
❶ 1세대 1주택 비과세 적용 대상 부수토지 범위 축소(2년 유예)
* (현행) 주택정착면적의 5배(도시지역 밖 10배) 이내의 부수토지에 대해서도 주택과 함께 1세대 1주택 비과세 적용
(개정) 수도권 도시지역은 주택정착면적의 3배(수도권 밖 도시지역은 현행 5배, 도시지역 밖은 현행 10배 유지)
❷ 고가 겸용주택(실거래가 9억원 초과)은 주택과 상가를 구분하여 주택 부분만 1세대 1주택 비과세·80% 장특공제 적용(2년 유예)
* (현행) 주택면적이 상가면적보다 큰 경우 전부를 주택으로 간주
5. 소형주택 임대사업자 세액감면 축소 (조특법)
ㅇ 등록 임대사업자*의 소형주택(85㎡·6억원 이하) 임대소득에 대한 소득세·법인세 세액감면율 축소(1년 유예)
* (임대기간)4년 또는 8년 이상 (임대보증금·임대료 증가율) 연 5% 이내
** (현행) 4년·8년 임대시 30%·75% → (개정) 4년·8년 임대시 20%·50%
6. 업무용승용차 손금불산입* 관련 운행기록부 작성의무 완화
* 업무용승용차의 사적사용 방지를 위해 감가상각(리스비용) 한도 제한(연간 800만원), 운행기록부 작성의무 등 규정
ㅇ 차량 운행기록부 작성없이 손금인정이 가능한 업무용승용차 관련비용* 기준을 상향 조정(연간 1,000만원→1,500만원)
* 감가상각비, 임차료, 유류비, 자동차세, 보험료, 수리비, 통행료 등
7. 주택임대소득 과세*시 공유주택의 주택수 계산방법 합리화 (소득령)
* 2주택 이상 소유 → 월세에 대해 임대소득으로 과세 3주택 이상 소유 → 보증금에 대한 간주임대료도 임대소득으로 과세
ㅇ 주택임대소득에 대한 과세형평을 감안하여 공유주택의 소수지분자도 일정한 경우 해당 주택을 소유주택 수에 가산
* (현행) 공유주택의 경우 최대지분자의 소유주택 수만 가산
(개정) 소수지분자도 ①해당 주택임대소득 연 600만원 이상 또는 ②기준시가 9억원 초과주택의 공유지분 30% 초과시 → 주택수에 포함
문의사항 Tel : 010-3422-1650 | Freecolt@naver.com
한의협, 제3회 홍보위원회 개최 (5일)
2025 대한한의사협회 엠버서더 발대식 (5일)
고창군보건소, ‘한방 난임부부 지원 사업’ 시행
“한의학전문대학원 선택과정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동국한의대 동문회, 제3차 동문이사회 ‘성료’
“공공의료의 틀을 한 차원 넓힌 상징적 전환점”
“회원 중심 회무 운영으로 회원들의 목소리 적극 반영”
대한원외탕전협회, 산불 재난 현장에 8천만원 상당 한약 기부
지역사회 공중보건 전문가 양성 고위과정 신설
“5세대 실손보험 도입, 소비자 보호를 위한 방안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