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15.0℃
  • 흐림속초9.2℃
  • 비6.4℃
  • 흐림철원5.3℃
  • 흐림동두천6.1℃
  • 흐림파주7.0℃
  • 흐림대관령9.9℃
  • 흐림춘천6.6℃
  • 흐림백령도7.4℃
  • 흐림북강릉13.3℃
  • 흐림강릉13.9℃
  • 구름많음동해14.0℃
  • 비서울7.9℃
  • 비인천7.6℃
  • 흐림원주9.4℃
  • 흐림울릉도12.2℃
  • 비수원7.9℃
  • 흐림영월13.9℃
  • 흐림충주10.6℃
  • 흐림서산8.8℃
  • 구름많음울진13.7℃
  • 비청주9.3℃
  • 비대전10.0℃
  • 흐림추풍령12.1℃
  • 흐림안동14.1℃
  • 흐림상주14.3℃
  • 흐림포항15.4℃
  • 흐림군산9.7℃
  • 흐림대구15.3℃
  • 비전주11.3℃
  • 구름많음울산14.7℃
  • 흐림창원13.3℃
  • 비광주13.3℃
  • 흐림부산14.1℃
  • 흐림통영13.4℃
  • 비목포10.7℃
  • 흐림여수12.2℃
  • 흐림흑산도10.0℃
  • 흐림완도13.1℃
  • 흐림고창9.5℃
  • 흐림순천11.7℃
  • 비홍성(예)9.6℃
  • 흐림9.6℃
  • 흐림제주16.7℃
  • 흐림고산12.5℃
  • 구름많음성산16.4℃
  • 비서귀포13.5℃
  • 흐림진주14.0℃
  • 흐림강화7.2℃
  • 흐림양평7.7℃
  • 흐림이천8.0℃
  • 흐림인제7.0℃
  • 흐림홍천7.7℃
  • 구름많음태백13.0℃
  • 흐림정선군14.1℃
  • 흐림제천12.1℃
  • 흐림보은9.3℃
  • 흐림천안9.1℃
  • 흐림보령9.6℃
  • 흐림부여10.1℃
  • 흐림금산11.5℃
  • 흐림9.3℃
  • 흐림부안10.6℃
  • 흐림임실11.5℃
  • 흐림정읍10.8℃
  • 흐림남원12.4℃
  • 흐림장수11.1℃
  • 흐림고창군10.3℃
  • 흐림영광군10.1℃
  • 흐림김해시14.1℃
  • 흐림순창군13.0℃
  • 흐림북창원15.3℃
  • 흐림양산시14.7℃
  • 흐림보성군14.5℃
  • 흐림강진군12.6℃
  • 흐림장흥13.0℃
  • 흐림해남11.4℃
  • 흐림고흥14.8℃
  • 흐림의령군15.3℃
  • 흐림함양군13.7℃
  • 흐림광양시13.7℃
  • 흐림진도군10.8℃
  • 흐림봉화12.7℃
  • 흐림영주12.4℃
  • 흐림문경12.8℃
  • 흐림청송군13.6℃
  • 흐림영덕14.5℃
  • 흐림의성14.4℃
  • 흐림구미14.8℃
  • 흐림영천14.3℃
  • 흐림경주시15.4℃
  • 흐림거창12.4℃
  • 흐림합천13.8℃
  • 흐림밀양14.4℃
  • 흐림산청12.2℃
  • 흐림거제13.7℃
  • 흐림남해13.4℃
  • 흐림15.0℃
  • 흐림속초9.2℃
기상청 제공

2025년 04월 05일 (토)

세무/노무/법률

한의원 세무 1:1 맞춤 퍼스널티칭 <1>

  • 작성자 : 한의신문
  • 작성일 : 22-11-17 16:41
  • 조회수 : 1,329

종합소득세 신고가 중요한 이유 3가지는?

 

C2380-35.jpg


김조겸 세무사/공인중개사

(스타세무회계/스타드림부동산)


안녕하세요? 이번달부터 한의신문에서 새로 세무칼럼을 맡게 된 스타세무회계/스타드림부동산 김조겸 세무사/공인중개사입니다. 첫 칼럼을 시작하기에 앞서 앞으로 제가 작성하는 칼럼의 방향과 목표로서, 한의원 개원을 고민하고 계신 봉직의부터 현재 한의원을 운영하고 계시는 원장님들 모두가 공감하고, 가장 궁금해하셨던 내용으로 실제 도움이 될 수 있는 가장 최신의 정보와 인사이트를 전달해드리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편집자 주>

 

첫 번째 칼럼에서는 종합소득세 신고가 중요한 이유 3가지에 대해 말해 보려고 한다.  

우선 종합소득세 신고는 <종합소득금액>이라는 성적표를 받는 중요한 ‘시험’이다. 매년 이 시험을 통해 우리는 세금을 더 많이 낼 수도, 또는 더 적게 낼 수도 있는 것이다. 

 

먼저 종합소득세 신고의 세액계산 흐름도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아래의 표처럼 <종합소득금액>이란 한 해 개인이 벌어들인 모든 소득을 말하는데, 사업소득뿐 아니라 이자, 배당소득, 근로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을 합산한 금액이다. 

 

이 중에서 <종합소득금액>은 사업자의 경우 총 수입금액에서 필요경비를 차감한 순이익의 개념이며, 근로소득자의 경우에는 총 급여에서 근로소득공제를 제외한 근로소득에 해당된다. 

 

따라서, 한의원을 운영하는 원장님의 경우 매출 대비 적정수준의 소득을 신고하고 있는 것인지, '소득률'의 기준에 있어 타 사업자 대비 너무 적게 신고하거나, 너무 높게 신고되는 것은 아닌지 등과 같이 적정수준의 소득금액 관리가 필요하다. 


1.jpg



그리고,부양가족 등 기본공제, 연금보험료공제 등을 반영한 과세표준에서 세율을 적용하여 산출세액이 나오게 되고, 여기에서 다시 세액공제 감면과 가산세를 고려해서, 최종 납부할 세액이 결정된다. 

최근에는 200여가지의 조세특례가 있어, 세제혜택에 따라 최대 100% 감면이 되는 경우도 있는 만큼 개인별로 적용가능한 세액공제 감면이 모두 적용돼 더 낸 세금이 없도록 하는 최선의 절세관리가 중요하다. 

 

둘째, 종합소득세 신고결과에 따라 국민연금보험료와 건강보험료가 변경된다. 

상용근로자로서 4대 보험 가입대상 근무직원이 있는 사업장의 대표(원장)는 직장가입자로 분류되고, 이 경우 먼저 최초의 직원 보수와 동일하게 매월의 기준보수월액에 따라 신고한 보험료를 매달 납부하게 된다. 

1)보수월액 건강보험료(2022년 기준)


건강보험료 = 보수월액 x 보험료율 (6.99%=가입자 3.495%+사용자 3.495%)

장기요양보험료 = 건강보험료 x 장기요양보험료율 (12.27%)



2)국민연금보험료: 보수월액 X 9%(가입자 4.5% + 사용자 4.5%)

하지만, 종합소득세 신고를 한 이후에는 매년 종합소득금액을 기준으로 건강보험료의 경우 보수월액이 변경될 뿐 아니라, 추가로 정산분에 상당하는 소득월액 보험료를 납부하게 되고, 국민연금은 매월 7월을 기준으로 기준소득월액이 조정된다. 

3.jpg

 

소득월액보험료(2022년 기준)

 

건강보험료 = (연간 보수외소득 - 3,400만원) ÷ 12월 × 소득평가율 × 건강보험료율(6.99%)

 

1(연간 보수외소득 – 3,400만원) ÷ 12월 = 소득월액

2(소득월액 × 소득평가율) × 건강보험료율 = 소득월액보험료

소득평가율: 사업·이자·배당·기타소득(100%), 연금·근로소득(30%)

장기요양보험료 = 건강보험료 x 장기요양보험료율(12.27%)


따라서, 소득금액에 따라 정산보험료가 추가되거나, 정산 및 환급이 되어 세금뿐 아니라 국민연금, 건강보험료의 부담 역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종합소득금액의 중요성은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사업자의 경우 종합소득금액을 기준으로 대출, 청약 등 제도에서 소득증빙을 판단하기 때문에 중요한 부분이다. 

 

최근에는 “총부채원리금 상환비율”이라고 부르는 DSR이 부동산 정책에 따른 대출규제의 지표가 되며 관심도가 많이 높아졌다.

 

DSR은 모든 신용대출 원리금을 포함한 총 대출 상환액이 연간 소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 대출 상환 능력을 심사하기 위한 지표인데, 주택담보대출 이외에 금융권에서의 대출 정보를 합산하여 계산한다. 

총부채상환비율(DTI)은 소득 대비 주택담보대출 원리금에 신용대출 등 다른 대출의 이자를 더한 금융부채로 대출한도를 계산하는 반면 DSR은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뿐만 아니라 신용대출, 자동차 할부, 학자금 대출, 카드론 등 모든 대출의 원금과 이자를 모두 더한 원리금 상환액으로 대출 상환 능력을 심사하기 때문에 더 엄격하다. 


4.jpg

 

DSR을 도입하면 연소득은 그대로인 상태에서 금융부채가 커지기 때문에 대출 한도가 대폭 축소되기 만큼 소득관리가 중요하다. 

• DTI = (주택대출 원리금 상환액 + 기타 대출 이자 상환액) / 연간 소득

• DSR = (주택대출 원리금 상환액 + 기타 대출 원리금 상환액) / 연간 소득

따라서, 부동산 구입이나 대출, 청약계획이 있다면, 연간 소득 기준이 되는 종합소득금액(사업소득금액)을 적정 수준 이상으로 관리해야 할 것이다. 

 

[스타세무회계 카카오톡 채널] http://pf.kakao.com/_bxngtxl

E-mail: startax@startax.kr    연락처: 010-9851-0907

네티즌 의견 0

가장 많이 본 뉴스

더보기

최신뉴스

더보기

동영상

더보기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