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13.7℃
  • 흐림속초9.3℃
  • 비6.5℃
  • 흐림철원5.4℃
  • 흐림동두천6.8℃
  • 흐림파주5.9℃
  • 구름많음대관령8.5℃
  • 흐림춘천6.7℃
  • 박무백령도7.2℃
  • 흐림북강릉13.4℃
  • 구름많음강릉14.1℃
  • 구름많음동해14.5℃
  • 비서울7.8℃
  • 비인천7.5℃
  • 흐림원주12.2℃
  • 흐림울릉도12.3℃
  • 비수원7.8℃
  • 구름많음영월14.8℃
  • 흐림충주12.5℃
  • 흐림서산8.3℃
  • 구름조금울진13.9℃
  • 비청주10.1℃
  • 비대전10.6℃
  • 구름많음추풍령13.8℃
  • 흐림안동13.5℃
  • 구름많음상주13.3℃
  • 흐림포항15.1℃
  • 흐림군산10.5℃
  • 흐림대구14.2℃
  • 비전주12.2℃
  • 흐림울산13.7℃
  • 흐림창원13.6℃
  • 비광주14.3℃
  • 흐림부산12.8℃
  • 흐림통영12.9℃
  • 비목포11.8℃
  • 흐림여수11.8℃
  • 흐림흑산도9.6℃
  • 흐림완도13.3℃
  • 흐림고창10.6℃
  • 흐림순천11.4℃
  • 비홍성(예)8.5℃
  • 흐림10.1℃
  • 흐림제주16.2℃
  • 구름많음고산13.6℃
  • 구름많음성산16.8℃
  • 흐림서귀포15.5℃
  • 흐림진주13.5℃
  • 흐림강화6.8℃
  • 흐림양평8.1℃
  • 흐림이천8.2℃
  • 흐림인제7.4℃
  • 흐림홍천8.9℃
  • 구름많음태백11.4℃
  • 구름많음정선군13.9℃
  • 구름많음제천12.5℃
  • 흐림보은13.4℃
  • 흐림천안9.1℃
  • 흐림보령9.7℃
  • 흐림부여9.3℃
  • 흐림금산12.3℃
  • 흐림9.1℃
  • 흐림부안11.4℃
  • 흐림임실12.3℃
  • 흐림정읍12.1℃
  • 흐림남원13.7℃
  • 흐림장수11.7℃
  • 흐림고창군11.3℃
  • 흐림영광군10.6℃
  • 흐림김해시13.1℃
  • 흐림순창군12.7℃
  • 구름많음북창원14.7℃
  • 흐림양산시13.7℃
  • 흐림보성군13.5℃
  • 흐림강진군13.5℃
  • 흐림장흥13.7℃
  • 흐림해남13.2℃
  • 흐림고흥14.4℃
  • 구름많음의령군14.8℃
  • 흐림함양군13.3℃
  • 흐림광양시13.1℃
  • 흐림진도군11.6℃
  • 구름많음봉화12.6℃
  • 흐림영주11.7℃
  • 흐림문경12.4℃
  • 흐림청송군14.6℃
  • 흐림영덕13.6℃
  • 흐림의성14.6℃
  • 흐림구미13.1℃
  • 흐림영천13.7℃
  • 흐림경주시14.9℃
  • 구름많음거창13.7℃
  • 흐림합천14.5℃
  • 흐림밀양13.6℃
  • 흐림산청12.8℃
  • 흐림거제13.7℃
  • 흐림남해13.3℃
  • 흐림13.7℃
  • 흐림속초9.3℃
기상청 제공

2025년 04월 05일 (토)

세무/노무/법률

한의원 세무 칼럼 – 091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17-06-30 11:21
  • 조회수 : 2,289
성실사업자의 종합소득세 신고시 이런 점은 주의하세요!
[한의신문] 자곡동에서 신규 개원한 홍길동 원장은 이제까지는 점심시간에 세무사가 보내준 납부서를 출력해 가까운 금융기관에 납부하거나 납부서에 기재돼 있는 가상계좌로 계좌이체를 해서 세금을 납부했다. 그런데 올해는 집안일로 갑작스러운 거액의 현금 지출이 발생해 통장에 잔액이 얼마 없는 상태라 6월 말까지 납부해야 하는 성실사업자 종합소득세를 낼 현금이 모자라다. 이와 같이 일시적으로 자금 유동성 압박이 있어서 세금 낼 현금이 모자라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번호에서는 이와 같은 원장님들을 위해 신용카드로 세금 납부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자. 보통 세금은 세무사가 보내주는 납부서를 출력해 △은행에 납부 △납부서에 적혀있는 가상계좌로 계좌이체 △홈택스에 로그인해서 직접 납부 △세무서를 방문해 직접 납부하는 방식 등을 많이 사용한다. 그렇지만 1000원짜리 커피 한잔도 신용카드로 납부하는 한국 정서를 반영해 몇 년 전부터 국세도 카드 납부가 가능해 졌으며, 현재는 종합소득세 및 모든 국세에 대한 신용카드 납부가 가능하다. 따라서 시간적 제약이 있거나 계좌이체 등을 사용하기 힘들 경우, 또 현금이 일시적으로 모자란 경우에 신용카드로 세금을 납부할 수 있다. 즉 신용카드로 부가가치세, 양도소득세, 종합소득세 등 모든 국세와 관세를 비롯한 경찰청 과태료와 범칙금, 인지대, 송달료 등을 신용카드로 납부할 수 있다. 단 납부금액의 최대한도는 인터넷 신용카드 납부 한도와 동일한 500만원이다. 신용카드로 납부하는 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1. 세무서에 직접 가서 납부 신용카드를 가지고 가까운 세무서를 방문해 세무서 카드단말기로 세금을 납부한다. 2. 국세 정부에서 운영하는 카드로택스(cardrotax.go.kr)라는 사이트를 통해 납부한다. 이 사이트에서 회원 가입을 한 후 세금을 납부할 수 있으며, 다만 회원과 사용자 신용카드의 명의자가 일치해야 한다. 또한 회원 명의의 공인인증서가 필요하다. 단 지방세의 경우에는 각 지자체 지방세 납부시스템을 이용해야 한다(서울의 경우는 이택스, 기타 지방은 위택스). 세금 납부가 가능한 신용카드 종류는 현재 비씨, 신한, 삼성, 현대, 롯데, 국민, 씨티, 전북은행, 광주은행, 제주은행, 수협은행, 하나카드, 농협카드 등 13종이다. 또한 이 사이트에서는 결제수단을 신용카드 외에도 계좌 이체를 선택할 수 있으며, 카드사에 따라 무이자 할부 이벤트를 하는 곳도 있어 각자가 사용하는 카드사의 이벤트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3. 금융결제원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접속 4. 납부 가능한 세금 국세, 관세, 경찰철 과태료, 법원 인지대 및 송달료 5. 지방세 서울은 이택스(etax.go.kr)란 사이트에서, 서울 외 지역은 위택스(wetax.go.kr)에서 납부 가능하다. 지방세의 경우 카드 포인트로도 납부가 가능하며, 카드수수료가 있는 국세와 달리 지방세에는 카드수수료가 없다. 6. 수수료 신용카드로 세금을 납부할 경우 다음과 같은 카드수수료가 발생한다. △신용카드: 0.8% △체크카드: 0.7%(단, 자동차세나 재산세와 같은 지방세는 납세자 부담 수수료가 없음) 7. 기타 -고지내역이 없을 경우 자진신고해 납부할 수 있으며, 세액이 10원 이상 금액만 수납처리가 가능하다. -국세청에서의 납부결과 확인은 납부일로부터 2영업일 이후부터 확인 가능하다. -국세는 납부 취소가 허용되지 않는다. 이상 이번호에서는 카드로 세금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다. 세금을 안낼 경우 매일 0.03%, 연 10.95%의 가산세란 이자가 붙는 만큼 현금이 모자라는 경우에는 우선 신용카드로 세금을 납부하는 것이 좋다. 즉 카드가 무이자 할부가 가능하거나 할부수수료가 10.95% 이하라면 현금이 모자라다고 세금을 납부하지 않은 것보다는 일단 카드 할부로라도 세금을 납부하는 것이 좋다.
문의사항 Tel : 010-3422-1650 | Freecolt@naver.com

네티즌 의견 0

가장 많이 본 뉴스

더보기

최신뉴스

더보기

동영상

더보기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