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속초6.5℃
  • 맑음6.8℃
  • 맑음철원4.9℃
  • 구름조금동두천8.5℃
  • 맑음파주6.3℃
  • 흐림대관령0.2℃
  • 맑음춘천7.4℃
  • 맑음백령도6.3℃
  • 흐림북강릉5.8℃
  • 구름많음강릉6.7℃
  • 구름많음동해6.5℃
  • 맑음서울9.2℃
  • 맑음인천8.8℃
  • 맑음원주8.4℃
  • 구름조금울릉도6.3℃
  • 맑음수원8.5℃
  • 구름많음영월7.9℃
  • 맑음충주5.5℃
  • 맑음서산7.1℃
  • 구름조금울진7.4℃
  • 맑음청주9.8℃
  • 맑음대전7.6℃
  • 맑음추풍령5.7℃
  • 구름조금안동8.9℃
  • 구름조금상주7.6℃
  • 비포항8.5℃
  • 맑음군산7.5℃
  • 맑음대구8.8℃
  • 맑음전주9.5℃
  • 구름조금울산8.3℃
  • 구름많음창원10.4℃
  • 맑음광주9.1℃
  • 맑음부산10.3℃
  • 구름많음통영11.4℃
  • 맑음목포8.5℃
  • 구름많음여수12.2℃
  • 구름많음흑산도9.7℃
  • 맑음완도8.0℃
  • 맑음고창6.2℃
  • 구름조금순천7.4℃
  • 맑음홍성(예)9.0℃
  • 맑음7.0℃
  • 흐림제주11.7℃
  • 구름조금고산11.3℃
  • 맑음성산9.2℃
  • 구름많음서귀포13.2℃
  • 구름많음진주8.6℃
  • 맑음강화6.3℃
  • 맑음양평7.9℃
  • 맑음이천6.9℃
  • 맑음인제6.4℃
  • 구름조금홍천6.4℃
  • 구름많음태백1.9℃
  • 구름많음정선군4.2℃
  • 맑음제천6.9℃
  • 맑음보은6.5℃
  • 맑음천안6.6℃
  • 맑음보령7.3℃
  • 맑음부여7.7℃
  • 맑음금산6.3℃
  • 맑음7.9℃
  • 맑음부안7.4℃
  • 맑음임실6.7℃
  • 맑음정읍6.3℃
  • 맑음남원7.5℃
  • 맑음장수4.7℃
  • 맑음고창군5.4℃
  • 맑음영광군6.0℃
  • 맑음김해시8.7℃
  • 맑음순창군6.8℃
  • 구름조금북창원11.9℃
  • 맑음양산시10.1℃
  • 구름많음보성군9.0℃
  • 맑음강진군8.8℃
  • 맑음장흥7.6℃
  • 맑음해남8.9℃
  • 구름많음고흥9.4℃
  • 맑음의령군7.5℃
  • 맑음함양군6.4℃
  • 구름많음광양시10.7℃
  • 구름조금진도군9.2℃
  • 구름조금봉화8.1℃
  • 구름많음영주7.9℃
  • 맑음문경6.0℃
  • 맑음청송군4.1℃
  • 구름많음영덕6.7℃
  • 구름조금의성7.1℃
  • 구름조금구미7.5℃
  • 맑음영천7.6℃
  • 맑음경주시6.6℃
  • 맑음거창5.4℃
  • 맑음합천7.9℃
  • 맑음밀양10.1℃
  • 맑음산청7.1℃
  • 구름많음거제11.6℃
  • 구름많음남해10.6℃
  • 맑음10.3℃
기상청 제공

2024년 11월 23일 (토)

신간

비려비마 중국의 근대성과 의학

  • 작성자 : 한의신문
  • 작성일 : 21-02-08 10:32
  • 조회수 : 1,686

noname01.png

 

 

읻다의 “척도와 구성” 시리즈,첫 번째 책 《비려비마: 중국의 근대성과 의학》이 출간되었다. 중국의학사를 연구한 레이샹린의 저작인 이 책은 20세기 초반 중국의학의 역사를 살핌으로써 중국의학 고유의 근대성, 더 나아가 중국 고유의 근대성이 형성되는 과정을 탐구한다.

 

근대화의 흐름 속에서 세계의 전통 의료 대부분이 소멸되거나 주변으로 밀려난 것과 달리, 중국의학은 독특하게도 과학과 근대성의 공격을 견뎌내고 국가의 공인을 받은 지식이 되었다. 중국의 모든 과학 분야를 통틀어 “1850년에서 1920년까지 가해진 근대 과학의 충격에서 살아남은”(벤저민 엘먼)전통 학문은 중국의학이 유일하다. 이제 중국의학은 세계보건기구에 의해 보완대체의학의 중요한 흐름으로 인정받고 있을 뿐 아니라, 각국의 의료 서비스에도 편입되고 있다. 저자인 레이샹린은 중국의학의 근대사가 중국이 근대성을 탐색해나가는 과정의 핵심에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의학사 서술은 전통적인 것과 근대적인 것을 대립시킴으로써 중국의학을 중국의 의학적 근대성으로부터 배제해왔다. 여러 역사학자는 근대적 제도와 가치, 지식이 중국의학의 궤적에 미친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했지만, 중국의학이 서양의학의 도입, 공중보건과 의료 행정의 구성 과정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별다른 연구를 진행하지 않았다. 그러나 레이샹린의 주장에 따르면 중국의학의 독특함은 바로 중국의 근대성과 얽힌 치열하고도 모호한 관계에서 비롯한다.

 

 

“나귀도 아니고 말도 아닌 잡종의학”

새로운 중국의학의 탄생을 위한 세 겹의 싸움

 

1920년대까지만 해도 근대성의 안티테제로 여겨졌던 중국의학은 반세기 후 어떻게 중국 고유의 근대성에 대한 강력한 상징이 되었을까? 이 문제의 열쇠는 ‘비려비마(非驢非馬)’라는 이 책의 제목에 있다. 요컨대 역사적 전환의 핵심은 ‘나귀도 아니고 말도 아닌’ 새로운 ‘종(種)’의 중국의학이 등장했다는 데 있다. ‘비려비마’는 사실 경멸조로 쓰이는 관용구이다. 근대 중국의학을 향한 이 말은 나귀와 말의 잡종인 노새, 즉 서양의학도 중국의학도 아닌 ‘잡종의학’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그러나 이 말은 한편으로 근대 중국의학이 서양의학은 물론 그때까지의 전통과도 구분되는 새로운 모습을 갖게 되었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 과정은 세 겹의 싸움이었다. 근대 중국의학은 서양의학 그리고 민족주의 국가와 공존하며 제도적·인식적·물질적으로 변혁을 거치면서 탄생했다. 첫째, 제도적 변혁이다. 중의는 국가와 의학이라는 관계 속에서 서의와 겨루어야 했다. 새로이 등장한 근대 국가와 의학의 접합 속에서 서의와 중의는 국가 보건 행정의 주도권을 둘러싸고 경쟁했다. 둘째, 인식적 변혁이다. 서의들은 중국의학에 세균 이론이 존재하지 않으며, 병인(病因)을 파악하지 못하기에 질병을 치료할 수 없다고 비난했다. 세균 이론을 수용할 것인가, 기존의 모습을 고수할 것인가. 중대한 기로에 놓인 중의들은 ‘변증론치(辨證論治)’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했다. 셋째, 물질적 변혁이다. 중의는 서의의 공격에 맞서 중약(中藥)의 유효성을 지켜내야 했다. 서의들은 정제되지 않은 풀뿌리나 나무껍질을 달여 먹는 중약이 유효한 성분만을 분리해 투여하는 서양의학을 따라올 수 없다고 공격했다. 이에 중의는 약물을 연구하는 새로운 방식인 ‘역순 연구 절차’를 제시함으로써 딜레마를 벗어나려 했다.

 

‘대문자 근대성’이 아닌 ‘소문자 근대성’에 대한 탐구

한의학은 어떠한 형태의 근대성을 보여주는가

 

새로운 중국의학의 모습을 통해 레이샹린은 근대성이라는 개념 자체에 의문을 던진다. 어쩌면 그동안 우리는 유럽이라는 특수한 사례를 보편으로 추켜세우고 비서구 세계를 여기에 맞추어 재단하려 했는지도 모른다. 레이샹린은 자신만의 근대성을 형성해낸 중국의학의 예를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방식의 근대성, ‘혼종적 근대’의 일례를 제시한다. 이는 ‘소문자 근대성’의 사례를 탐구함으로써 ‘대문자 근대성’을 향한 대항을 시도했다고도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한국의 사례는 어떠한가. 대개 한의학은 과거의 전통을 충실하게 보존하고 있다고 이야기하지만, 이는 한의사와 서양 의사 양측이 만들어낸 신화에 가깝다. 실제로 한의학은 일제강점기 이래로 서양의학이라는 새로운 대상에 맞서 자신의 정체성을 가다듬어야 했다. 한의학은 구체적으로 어떠한 경로를 통해 어떻게 변화했는가? 한의학을 ‘전근대’로 규정하는 시선은 정당한가? 한의학은 어떠한 형태의 근대성을 보여주는가? 이 책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더불어 한의사 및 서양 의사, 의학사 연구자, 넓게는 근대성을 탐구하는 모든 이들에게 흥미롭고 독창적인 통찰을 제시할 것이다. 


목차

 

1장 서론

1. 1. 중국의학과 근대국가의 조우

1. 2. 전통과 근대의 이분법을 넘어

1. 3. 공진화적 역사를 향하여

1. 4. 중국의 근대성

1. 5. 근대성 담론

1. 6. 비려비마

1. 7. 용어들

 

2장 주권과 현미경: 1910~1911년 만주 페스트 방역

2. 1. “페스트는 전염될 수 있습니다”, “아니오, 믿지 못하겠소”

2. 2. 폐페스트 대 선페스트

2. 3. “4,000년 동안 가장 잔혹했던 경찰”

2. 4. 중국의학의 도전: 홍콩과 만주

2. 5. 추안란: 감염자 간의 연결망과 그 확장

2. 6. 유행병을 피해서

2. 7. 국제감시체계의 일원이 되다

2. 8. 결론: 만주 페스트의 사회적 특성

 

 

3장 의료와 국가 연결하기: 1860~1928년 선교의료에서 공중보건으로

3. 1. 선교의료

3. 2. 서양의학의 지위: 청말과 메이지 일본

3. 3. 1세대 서의의 등장

3. 4. 공공사업으로서의 서양의학

3. 5. “공중보건: 대규모 사업을 벌이기에 아직은 때가 이르다”, 1914~1924

3. 6. 위생부와 ‘근대 정부의 의료에 대한 의무’, 1926~1927

3. 7. 결론

 

4장 중국의학과 서양의학의 관계를 상상하다, 1890~1928

4. 1. 1890년대 말 중국의학과 서양의학의 회통

4. 2. 경맥과 혈관의 불통

4. 3. 위옌과 셋으로 나누어진 중국의학

4. 4. 대결 장소를 피해서

4. 5. 에페드린과 ‘국산 약물의 과학 연구’

4. 6. 중국의학에서 경험 전통을 만들어내기

4. 7. 결론

5장 중국의학 혁명과 국의운동

5. 1. 중국의학 혁명

5. 2. 중의학교의 합법화를 둘러싼 논란

5. 3. 중국의학의 폐지: 1929년의 제안

5. 4. 3월 17일의 시위

5. 5. ‘국의’의 양면적 의미

5. 6. 난징에 파견된 중의 대표단

5. 7. ‘국의’의 상을 그리다

5. 8. 결론

 

6장 1930년대 상하이 보건의료의 시각화

6. 1. 상하이의 의료 환경에 대한 도해를 읽다

6. 2. 서양의학: 통합과 경계 긋기

6. 3. 중국의학: 분열과 파편화

6. 4. 중국의학의 체계화

6. 5. 결론

 

7장 동사로서의 과학: 중국의학의 과학화와 잡종의학의 부상

7. 1. 국의관

7. 2. 중국 과학화 운동

7. 3. 중국의학의 과학화를 둘러싼 논쟁: 세 가지 입장

7. 4. 기화를 버리고 과학화를 택하다

7. 5. 과학화를 거부하다

7. 6. 중국의학의 재조립: 침구와 축유

7. 7. ‘잡종의학’의 도전

7. 8. 결론

 

8장 세균 이론과 ‘변증론치’의 전사

8. 1. 감염병의 존재를 알아보시겠소?

8. 2. 신고 대상 감염병

8. 3. 질병 분류의 통일과 장티푸스의 번역

8. 4. 중국의학에 세균 이론을 녹여 넣기

8. 5. 병증 대 질병

8. 6. ‘변증론치’의 전사

8. 7. 결론

 

9장 정치 전략으로서의 연구 설계: 항말라리아제 신약 상산의 탄생

9. 1. 상산 연구라는 이례적 사례

9. 2. 국산 약물의 과학 연구

9. 3. 1단계: 문턱을 넘기

9. 4. 추씨 부인의 치험례

9. 5. 2단계: 상산의 새로운 연결망

9. 6. 상산의 정체를 확인하다

9. 7. 두 가지 연구 절차: 1 -2 -3 -4 -5 대 5 -4 -3 -2 -1

9. 8. 역순 연구 절차: 5 -4 -3 -2 -1

9. 9. 정치 전략으로서의 연구 절차

9. 10. 결론: 지식 정치와 가치 체제

 

10장 국가의료와 중국 향촌, 1929~1949

10. 1. 중국 의료의 문제를 정의하다

10. 2. 중국 향촌을 발견하다

10. 3. 딩현의 공동체 의료 모형

10. 4. 국가의료와 중화의학회

10. 5. 국가의료와 지방자치정부

10. 6. 보건원 제도의 폐지 문제

10. 7. 향촌을 위한 중국의학

 

11장 결론: 근대 중국의학을 생각하다

11. 1. 의학과 국가

11. 2. 가치의 창조

11. 3. 의학과 중국의 근대성: 국민당과 공산당

11. 4. 중국의학과 과학기술학

 

감사의 글

 

찾아보기


네티즌 의견 0

가장 많이 본 뉴스

더보기

최신뉴스

더보기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