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10.8℃
  • 구름조금속초14.4℃
  • 맑음12.4℃
  • 맑음철원10.9℃
  • 맑음동두천9.8℃
  • 맑음파주8.6℃
  • 맑음대관령7.0℃
  • 맑음춘천12.8℃
  • 맑음백령도8.3℃
  • 맑음북강릉13.3℃
  • 맑음강릉14.7℃
  • 맑음동해10.7℃
  • 맑음서울10.5℃
  • 맑음인천8.2℃
  • 맑음원주11.5℃
  • 구름많음울릉도9.4℃
  • 맑음수원8.6℃
  • 맑음영월11.0℃
  • 맑음충주11.9℃
  • 맑음서산8.4℃
  • 맑음울진9.7℃
  • 맑음청주12.5℃
  • 맑음대전11.6℃
  • 맑음추풍령11.0℃
  • 맑음안동13.2℃
  • 맑음상주12.3℃
  • 맑음포항15.8℃
  • 맑음군산9.9℃
  • 맑음대구15.5℃
  • 맑음전주11.4℃
  • 맑음울산11.8℃
  • 맑음창원12.1℃
  • 맑음광주12.2℃
  • 맑음부산11.7℃
  • 맑음통영11.0℃
  • 맑음목포10.4℃
  • 맑음여수14.9℃
  • 맑음흑산도8.0℃
  • 맑음완도11.6℃
  • 맑음고창8.1℃
  • 맑음순천9.9℃
  • 맑음홍성(예)9.0℃
  • 맑음11.8℃
  • 맑음제주11.9℃
  • 맑음고산11.0℃
  • 맑음성산9.8℃
  • 맑음서귀포13.1℃
  • 맑음진주11.4℃
  • 맑음강화7.6℃
  • 맑음양평11.7℃
  • 맑음이천10.7℃
  • 맑음인제8.4℃
  • 맑음홍천12.2℃
  • 맑음태백7.5℃
  • 맑음정선군11.0℃
  • 맑음제천10.5℃
  • 맑음보은11.0℃
  • 맑음천안11.2℃
  • 맑음보령8.3℃
  • 맑음부여9.7℃
  • 맑음금산10.7℃
  • 맑음10.5℃
  • 맑음부안10.5℃
  • 맑음임실9.8℃
  • 맑음정읍9.8℃
  • 맑음남원10.1℃
  • 맑음장수7.2℃
  • 맑음고창군8.1℃
  • 맑음영광군9.3℃
  • 맑음김해시13.3℃
  • 맑음순창군9.9℃
  • 맑음북창원16.1℃
  • 맑음양산시12.0℃
  • 맑음보성군11.7℃
  • 맑음강진군10.7℃
  • 맑음장흥9.0℃
  • 맑음해남8.0℃
  • 맑음고흥12.4℃
  • 맑음의령군11.9℃
  • 맑음함양군12.6℃
  • 맑음광양시12.5℃
  • 맑음진도군7.6℃
  • 맑음봉화9.3℃
  • 맑음영주12.1℃
  • 맑음문경12.5℃
  • 맑음청송군12.8℃
  • 맑음영덕14.1℃
  • 맑음의성13.8℃
  • 맑음구미13.5℃
  • 맑음영천14.1℃
  • 맑음경주시14.6℃
  • 맑음거창9.6℃
  • 맑음합천14.8℃
  • 맑음밀양14.4℃
  • 맑음산청12.9℃
  • 맑음거제12.3℃
  • 맑음남해12.7℃
  • 맑음10.8℃
  • 구름조금속초14.4℃
기상청 제공

2025년 04월 06일 (일)

신간

한의학 소담 - 한의학에 대해 한가로이 묻고 답하다

  • 작성자 : 한의신문
  • 작성일 : 14-03-12 18:37
  • 조회수 : 868
B0082014031267049-1.jpg

이 책은 저자인 백진웅 교수가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1학년들에게 “뭐든지 좋으니 주제에 구애받지 말고 평소 궁금해 하던 점에 대해 한 사람 당 한 개씩의 질문을 써서 제출하라”는 과제를 내준 것에서부터 시작했다. 학생들은 한의학 이론에 대한 의문에서부터 작가의 개인 취향에 대한 것까지 매우 다양한 질문을 제출했다. 하나하나 모두 흥미로운 질문이었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두 가지 질문이 “한의학 전공 학생들에게 보다 논리적으로 한의학을 이해시키고 싶다”라는 꿈을 갖고 교수가 된 저자를 자극했다. 한 가지는 “Daum 지식 코너에 어떤 한의사 분이 한의대 교과서에 대해 쓴 부정적 글을 읽고 정말 우리는 이런 환경에서 공부하고 있는지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 그 분의 글 중에는 ‘짜깁기해서 일관성이 없다’라는 내용도 있는데 이미 어떤 과목의 교과서를 통해 충분히 느꼈습니다. 솔직히 공부할 때 열불이 났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일관성’조차 부실한 교과서를 가지고 공부하고 있는 현실에 대해서요. 만약 이후에 배울 교과서도 대부분 이런 식이라면 학생들이 어떻게 공부해야 훌륭한 한의사로 성장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라는 질문이었고, 또 한 가지는 “교수님께서 기백(?伯)이셨다면 『황제내경(黃帝內經)』은 어떤 내용으로 채워져 있고 또 그 구성은 어떤 식으로 바뀌어 있을지 궁금합니다”라는 것이었다. 글쓴이는 전자의 질문을 읽고 나서 교수 중의 한 사람으로서 크나큰 부끄러움과 미안한 마음에 사로잡혔다. 이어 후자의 질문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2천여 년 전의 황제와 기백처럼 현 시점에서 논란이 되는 다양한 주제에 대한 문답을 기록으로 남김으로써 학생들에 대한 마음의 빚을 줄임과 동시에 교수가 된 애초의 목적을 일부라도 달성하기로 결심하였다. 이 책은 이렇게 시작해 ①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전체 학생들의 질문을 추가로 취합 및 선별하여 질문 목록을 확정하고, ②한의학 원전 연구와 강의를 담당하고 있는 백진웅 교수, 한의치료기술연구와 해부학 강의를 담당하고 있는 최병태 교수, 심계 내과학 강의와 진료를 담당하고 있는 홍진우 교수의 토론을 통해 기초한의학자, 생명과학자, 임상한의학자의 관점을 두루 제시하는 방식으로 완성하였다. 최병태·백진웅·홍진우 저 / 202페이지 / 부산대학교출판부(051-510-1932)

네티즌 의견 0

가장 많이 본 뉴스

더보기

최신뉴스

더보기

동영상

더보기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