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속초3.1℃
  • 눈-1.4℃
  • 흐림철원-0.2℃
  • 흐림동두천0.2℃
  • 구름많음파주0.8℃
  • 흐림대관령-3.8℃
  • 흐림춘천-1.5℃
  • 맑음백령도5.3℃
  • 구름많음북강릉3.3℃
  • 구름많음강릉3.8℃
  • 구름조금동해3.4℃
  • 눈서울2.1℃
  • 비인천2.3℃
  • 흐림원주2.9℃
  • 구름조금울릉도3.5℃
  • 비수원1.8℃
  • 구름조금영월1.4℃
  • 구름많음충주3.0℃
  • 흐림서산3.0℃
  • 맑음울진4.4℃
  • 구름많음청주4.4℃
  • 구름많음대전4.6℃
  • 구름조금추풍령2.9℃
  • 맑음안동3.2℃
  • 구름조금상주3.7℃
  • 맑음포항5.9℃
  • 구름많음군산3.9℃
  • 맑음대구5.3℃
  • 구름많음전주4.9℃
  • 맑음울산5.3℃
  • 맑음창원4.7℃
  • 맑음광주5.1℃
  • 맑음부산5.9℃
  • 맑음통영6.1℃
  • 맑음목포6.3℃
  • 맑음여수6.1℃
  • 구름많음흑산도7.0℃
  • 맑음완도6.1℃
  • 맑음고창4.7℃
  • 구름조금순천3.5℃
  • 비홍성(예)2.9℃
  • 구름많음4.6℃
  • 맑음제주8.7℃
  • 구름많음고산7.7℃
  • 맑음성산7.7℃
  • 맑음서귀포8.9℃
  • 맑음진주5.8℃
  • 맑음강화1.4℃
  • 흐림양평1.1℃
  • 흐림이천2.0℃
  • 흐림인제-0.5℃
  • 흐림홍천0.9℃
  • 흐림태백-2.0℃
  • 구름많음정선군-0.3℃
  • 구름조금제천0.8℃
  • 구름많음보은3.7℃
  • 흐림천안3.8℃
  • 흐림보령4.0℃
  • 구름많음부여4.3℃
  • 맑음금산3.9℃
  • 구름많음3.7℃
  • 구름많음부안4.8℃
  • 맑음임실3.4℃
  • 맑음정읍4.4℃
  • 맑음남원4.4℃
  • 맑음장수2.0℃
  • 구름조금고창군4.4℃
  • 맑음영광군5.0℃
  • 맑음김해시5.9℃
  • 맑음순창군3.9℃
  • 맑음북창원6.4℃
  • 맑음양산시6.8℃
  • 구름조금보성군5.8℃
  • 구름조금강진군6.0℃
  • 구름조금장흥5.5℃
  • 맑음해남6.0℃
  • 맑음고흥5.4℃
  • 맑음의령군6.5℃
  • 맑음함양군4.6℃
  • 맑음광양시5.9℃
  • 맑음진도군5.6℃
  • 구름조금봉화2.9℃
  • 구름조금영주2.2℃
  • 구름조금문경3.5℃
  • 맑음청송군2.5℃
  • 맑음영덕4.5℃
  • 맑음의성
  • 맑음구미4.8℃
  • 맑음영천4.7℃
  • 맑음경주시5.7℃
  • 맑음거창3.1℃
  • 맑음합천6.2℃
  • 맑음밀양6.1℃
  • 맑음산청4.1℃
  • 맑음거제4.9℃
  • 맑음남해5.9℃
  • 맑음6.5℃
기상청 제공

2025년 01월 13일 (월)

보양환오탕, 허혈성 뇌졸중 회복에 효과적이고 안전

보양환오탕, 허혈성 뇌졸중 회복에 효과적이고 안전

20240426085524_d18da2d477a8278f907fa1f787782f6d_ebas.jpg[편집자 주]  본란에서는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KMCRIC)의 ‘근거중심한의약 데이터베이스’ 논문 중 주목할 만한 임상논문을 소개한다.



65.jpg


이주아

화평한의원


KMCRIC 제목

중약을 복용하는 것은 뇌졸중의 회복에 효과적인가?


서지사항

Wang R, Ren J, Li S, Bai X, Guo W, Yang S, Wu Q, Zhang W. Efficacy evaluation of Buyang Huanwu Decoction in the treatment of ischemic stroke in the recovery period: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Front Pharmacol. 2022 Oct 14;13:975816. doi: 10.3389/fphar.2022.975816(2021 IF 5.988).


연구 설계

뇌졸중의 표준 치료인 약물요법 단독 치료와 약물요법 및 보양환오탕을 병행했을 때를 비교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가 대상인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


연구 목적

성인 뇌졸중 환자의 회복기에 보양환오탕 병용 투여가 임상적으로 효과적이고 안전한지를 평가하기 위함.


질환 및 연구대상

성인 뇌졸중 회복기 환자.


시험군 중재

보양환오탕과 양약 병용 투여군.


대조군 중재

양약 단독 투여군.


평가지표

뇌졸중 환자의 회복 정도(National Institute of Health Stroke Scale, NIHSS): 11가지 지표로 구성돼 있으며 상지 운동, 운동 실조, 감각, 보행, 시야, 안면 마비, 하지 운동, 언어, 구음 장애에 대한 항목을 평가.


주요 결과

1. 총 39개의 연구이며 3686명의 환자가 포함돼 메타분석을 시행함.

2. 양약 단독 치료군과 보양환오탕 병행 치료군을 비교한 결과 NIHSS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MD=-1.44, 95% CI: 1.75, -1.12, p<0.00001).

3. 병행 치료군에서 이상 반응은 증가하지 않았다.


저자 결론

보양환오탕은 허혈성 뇌졸중의 회복을 위한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법으로 생각되며, 회복 기간의 허혈성 뇌졸중 치료에서 보양환오탕의 효능과 안전성을 더 확인하려면 더 많은 수의 다기관 및 전향적 RCT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MCRIC 비평

본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는 허혈성 뇌졸중의 회복에 보양환오탕의 효과를 평가한 연구로써 총 39건의 연구가 포함되었다. 허혈성 뇌졸중은 뇌혈관의 공급 장애로 인해 뇌 허혈과 저산소증이 발생하는 뇌혈관 질환이다[1]. 


허혈성 뇌졸중은 급성기, 회복기, 후유증기로 구분된다. 이 중 회복 기간은 뇌경색 발생 이후 2주에서 6개월을 말한다. 이 기간은 환자의 회복을 위한 핵심 기간이자 임상 치료의 중요한 부분이다[2]. 


이 기간에는 재활 치료를 포함해 항혈소판제제, 항응고제 요법 등의 치료법이 사용된다. 허혈성 뇌졸중은 회복기를 거치고 나서도 신경학적 기능 장애, 느린 회복,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많은 합병증이 발생하기 쉽다[3]. 

그러므로 뇌졸중 회복기에 쓰이는 중약 중 한 가지인 보양환오탕의 효과에 대한 본 연구는 임상적으로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총 39개의 연구로 3686명의 환자가 포함되어 메타분석을 시행했으며, 기존 표준 치료인 양약 단독 치료군과 보양환오탕과 양약 병행 치료군을 비교한 연구들이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 뇌졸중의 증세 및 기능 회복 평가지표에서 보양환오탕 병행 치료군이 유의한 치료 효과 차이를 보였음을 확인했으며, 유의한 이상 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보양환오탕은 허혈성 뇌졸중의 회복을 위한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법으로 생각되며, 회복 기간의 허혈성 뇌졸중 치료에서 보양환오탕의 효능과 안전성을 더 확인하려면 더 많은 수의 다기관 및 전향적 RCT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을 살펴보면, 첫째는 연구 설계에 대한 것이다. 무작위 배정 연구라고 대부분의 연구에서 기술했지만 구체적인 맹검 및 눈가림에 대한 방법에 대해 기술하지 않았으며 중약과 양약의 특성상 맹검이 정확하게 이뤄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에 대한 편향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각 연구별로 연구 기간이 상이하여(2주∼6개월)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에도 메타분석에 이와 같은 요소가 고려되지 않았으므로 추후 메타분석시 중약의 투여 기간 및 용량 등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는 포함된 39개의 연구가 모두 중국에서 시행된 연구이며, 각 연구의 샘플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작고 연구 보고의 질이 높지 않아 메타분석 결과 역시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것이다. 중국에서 수행되는 대다수의 무작위 연구는 그 방법 및 결과에 대한 세부적인 보고를 생략한 연구가 많으며, 향후 연구의 설계 및 보고의 질이 높은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고령화가 급격히 진행되면서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수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고, 중약과 양약을 병용 투여하여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한 것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국내에서도 뇌졸중 환자의 기능 회복을 위한 한의 치료의 다양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겠으며, 효과가 입증된 안전한 치료법의 확산을 기대해 본다.


KMCRIC 링크

https://www.kmcric.com/database/ebm_result_detail?cat= SR&access=S202210124


참고문헌

[1] Chen X, Chen H, He Y, Fu S, Liu H, Wang Q, Shen J. Proteomics-Guided Study on Buyang Huanwu Decoction for Its Neuroprotective and Neurogenic Mechanisms for Transient Ischemic Stroke: Involvements of EGFR/PI3K/Akt/Bad/14-3-3 and Jak2/Stat3/Cyclin D1 Signaling Cascades. Mol Neurobiol. 2020 Oct;57(10):4305-21. doi: 10.1007/s12035-020-02016-y.

https://pubmed.ncbi.nlm.nih.gov/32700252/

[2] Chen X, Zhao D. Effect of Bu Yang Huan Wu Decoction in the treatment of 188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 in the recovery period. Chinese Community Doctors. 2018;26:115-7. doi: 10.3969/j.issn.1007-614x.2018.26.071.

https://lib.cqvip.com/Qikan/Article/Detail?id=7000799686&from=Qikan_Search_Index

[3] Chen Y, Cao J. Clinical observation on 35 cases of cerebral infarction in recovery period treated with combination of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Practical Clinical Journal of Integrated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2016;5:16-8. doi: 10.13638/j.issn.1671-4040.2016.05.007.

https://lib.cqvip.com/Qikan/Article/Detail?id=670492204

 

관련기사

가장 많이 본 뉴스

더보기
  • 오늘 인기기사
  • 주간 인기기사

최신뉴스

더보기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