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14.8℃
  • 흐림속초11.5℃
  • 흐림17.0℃
  • 흐림철원15.0℃
  • 흐림동두천13.5℃
  • 흐림파주10.1℃
  • 흐림대관령15.6℃
  • 흐림춘천18.0℃
  • 비백령도2.7℃
  • 흐림북강릉14.1℃
  • 흐림강릉16.0℃
  • 흐림동해12.6℃
  • 비서울13.3℃
  • 비인천7.8℃
  • 흐림원주18.7℃
  • 흐림울릉도11.3℃
  • 비수원8.9℃
  • 흐림영월19.3℃
  • 흐림충주17.3℃
  • 흐림서산6.6℃
  • 흐림울진12.1℃
  • 비청주16.8℃
  • 비대전17.4℃
  • 흐림추풍령11.7℃
  • 비안동15.8℃
  • 흐림상주12.4℃
  • 비포항14.6℃
  • 흐림군산13.6℃
  • 비대구14.4℃
  • 비전주14.2℃
  • 비울산12.8℃
  • 비창원13.4℃
  • 비광주12.7℃
  • 비부산13.6℃
  • 흐림통영13.6℃
  • 비목포13.5℃
  • 비여수12.9℃
  • 비흑산도12.0℃
  • 흐림완도13.9℃
  • 흐림고창11.6℃
  • 흐림순천10.5℃
  • 비홍성(예)14.5℃
  • 흐림17.1℃
  • 비제주18.2℃
  • 흐림고산14.4℃
  • 흐림성산15.2℃
  • 비서귀포15.2℃
  • 흐림진주12.6℃
  • 흐림강화6.0℃
  • 흐림양평19.8℃
  • 흐림이천19.5℃
  • 흐림인제18.2℃
  • 흐림홍천17.7℃
  • 흐림태백15.3℃
  • 흐림정선군19.2℃
  • 흐림제천17.2℃
  • 흐림보은13.6℃
  • 흐림천안16.8℃
  • 흐림보령13.6℃
  • 흐림부여14.3℃
  • 흐림금산14.9℃
  • 흐림16.5℃
  • 흐림부안13.3℃
  • 흐림임실11.1℃
  • 흐림정읍12.6℃
  • 흐림남원11.1℃
  • 흐림장수10.2℃
  • 흐림고창군12.5℃
  • 흐림영광군12.6℃
  • 흐림김해시13.9℃
  • 흐림순창군11.1℃
  • 흐림북창원14.0℃
  • 흐림양산시13.8℃
  • 흐림보성군12.9℃
  • 흐림강진군14.1℃
  • 흐림장흥13.7℃
  • 흐림해남14.5℃
  • 흐림고흥12.9℃
  • 흐림의령군14.1℃
  • 흐림함양군12.0℃
  • 흐림광양시12.0℃
  • 흐림진도군14.6℃
  • 흐림봉화16.2℃
  • 흐림영주16.1℃
  • 흐림문경13.5℃
  • 흐림청송군13.5℃
  • 흐림영덕12.9℃
  • 흐림의성15.8℃
  • 흐림구미12.8℃
  • 흐림영천14.7℃
  • 흐림경주시13.4℃
  • 흐림거창11.3℃
  • 흐림합천12.2℃
  • 흐림밀양14.5℃
  • 흐림산청11.0℃
  • 흐림거제13.2℃
  • 흐림남해12.9℃
  • 비14.8℃
  • 흐림속초11.5℃
기상청 제공

2025년 04월 12일 (토)

입원·사망위험 높다는 다제약물복용자 200만명 넘어

입원·사망위험 높다는 다제약물복용자 200만명 넘어

다제약물복용률, 75세 이상 22.4%…의료급여자 19.4% 육박
인재근 의원 “다제약물관리, 공식사업 추진 속도 내야” 밝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인재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여러 개의 다른 약물을 복용하는 일명 ‘다제약물복용’ 실태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노인인구 및 만성질환자의 증가로 다제약물복용자가 늘어나고 있다. 우리나라의 잘 갖춰진 건강보험체계와 높은 의료접근성도 일반 국민이 약물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만드는 요인으로 꼽힌다.


문제는 다제약물복용이 오히려 환자에게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다제약물을 복용할 경우 약물 상호작용으로 인해 약효가 떨어지거나 부작용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


실제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연구소에서 발표한 ‘국민건강보험 자료를 이용한 다제약물(polypharmacy) 복용자의 약물 처방 현황과 기저질환 및 예후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이 5개 이상 약물을 복용하면 1∼4개의 약물을 복용할 경우에 비해 입원위험이 18%, 사망위험이 25%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우리나라의 다제약물복용 실태는 심각한 수준이다. 지난해 OECD는 5개 이상 약물을 90일 이상 만성적으로 복용하는 75세 환자 비율(2017년 기준)을 공개했는데, 우리나라는 통계를 제출한 7개국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우리나라의 비율은 68.1%, 7개국 평균은 48.3%였다.


인재근 의원이 건보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서도 같은 문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다제병용처방율은 2016년 3.3%에서 2017년 3.5%, 2018년 3.8%, 2019년 4.2%에 이르기까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연령이 높을수록 다제병용처방률도 높게 나타났는데, 2019년 기준 75세 이상 인구의 다제병용처방율은 23.6%에 달했다.


이와 함께 다제약물복용자도 늘고 있다. 2016년 154만8000명이었던 다제약물복용자는 매년 증가해 지난해 201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다제약물복용률도 3.0%에서 3.8%로 증가했다.


다제약물복용자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2019년 기준 75세 이상은 84만1000명(복용률 22.4%), 65∼75세는 60만명(복용률12.2%), 55∼65세는 40만1000명(복용률 4.8%), 45∼55세는 12만7000명(복용률 1.4%), 45세 미만은 4만3000명(복용률 0.2%)이었다.


소득분위별로도 다제약물복용 현황에 차이를 보였는데, 지난해를 기준으로 1분위가 5.8%로 가장 높았고, 이어 10분위(4.2%), 9분위(3.7%) 순이었다. 2∼8분위는 3.0% 안팎의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소득수준이 중간인 사람보다는 소득수준이 높은 사람이, 소득수준이 높은 사람보다는 소득수준이 가장 낮은 사람의 다제약물복용률이 높았다는 의미이다. 특히 의료급여자의 경우 다제약물복용률이 19.4%에 달해 각별한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재근 의원은 “우리나라의 다제약물복용 실태는 우수한 의약체계의 또 다른 단면이라고 볼 수 있다. 개선을 위한 정부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지적하며, “건보공단이 다제약물복용자에게 복약상담지도를 제공하는 다제약물관리사업을 실시하고 있지만 아직 시범사업에 불과하다. 공식사업으로 추진하기 위해 더 속도를 내야 한다. 특히 고령자와 의료급여자를 포함한 저소득층에 대한 다제약물관리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123.jpg

 

관련기사

가장 많이 본 뉴스

더보기

최신뉴스

더보기

동영상

더보기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