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19.6℃
  • 흐림속초10.4℃
  • 흐림14.2℃
  • 흐림철원14.4℃
  • 흐림동두천15.8℃
  • 흐림파주13.3℃
  • 흐림대관령12.3℃
  • 흐림춘천13.6℃
  • 흐림백령도10.0℃
  • 흐림북강릉13.6℃
  • 흐림강릉15.7℃
  • 구름많음동해14.2℃
  • 흐림서울15.2℃
  • 흐림인천13.7℃
  • 구름많음원주16.6℃
  • 구름많음울릉도14.3℃
  • 흐림수원15.0℃
  • 구름많음영월16.6℃
  • 구름많음충주16.7℃
  • 흐림서산13.3℃
  • 구름많음울진15.4℃
  • 흐림청주16.2℃
  • 흐림대전17.0℃
  • 구름많음추풍령15.8℃
  • 구름많음안동15.9℃
  • 구름많음상주15.6℃
  • 구름많음포항15.0℃
  • 흐림군산14.7℃
  • 구름많음대구16.3℃
  • 흐림전주18.8℃
  • 구름많음울산17.9℃
  • 구름많음창원18.4℃
  • 구름조금광주20.0℃
  • 맑음부산17.8℃
  • 구름조금통영17.5℃
  • 구름많음목포18.2℃
  • 맑음여수15.9℃
  • 구름많음흑산도15.9℃
  • 구름조금완도18.3℃
  • 구름많음고창17.0℃
  • 맑음순천16.3℃
  • 흐림홍성(예)14.9℃
  • 흐림16.7℃
  • 구름조금제주17.7℃
  • 맑음고산19.2℃
  • 맑음성산17.0℃
  • 구름조금서귀포17.1℃
  • 구름많음진주17.4℃
  • 흐림강화13.4℃
  • 구름많음양평15.0℃
  • 흐림이천14.6℃
  • 흐림인제14.2℃
  • 흐림홍천13.4℃
  • 구름많음태백14.1℃
  • 흐림정선군15.7℃
  • 구름많음제천15.0℃
  • 구름많음보은16.4℃
  • 흐림천안15.4℃
  • 흐림보령14.3℃
  • 흐림부여15.0℃
  • 구름많음금산16.8℃
  • 흐림14.9℃
  • 흐림부안16.2℃
  • 구름많음임실16.9℃
  • 흐림정읍18.9℃
  • 구름조금남원17.4℃
  • 구름많음장수17.5℃
  • 흐림고창군18.6℃
  • 구름많음영광군17.5℃
  • 맑음김해시18.5℃
  • 구름조금순창군18.3℃
  • 구름조금북창원19.6℃
  • 구름조금양산시19.5℃
  • 맑음보성군18.1℃
  • 구름많음강진군17.7℃
  • 구름조금장흥18.2℃
  • 구름조금해남18.8℃
  • 맑음고흥18.0℃
  • 구름많음의령군19.1℃
  • 구름많음함양군18.2℃
  • 구름조금광양시19.0℃
  • 구름많음진도군16.1℃
  • 구름많음봉화15.4℃
  • 구름많음영주15.4℃
  • 구름많음문경15.1℃
  • 구름많음청송군18.2℃
  • 구름많음영덕16.4℃
  • 구름많음의성17.1℃
  • 구름많음구미18.2℃
  • 구름많음영천17.4℃
  • 구름조금경주시18.4℃
  • 구름많음거창
  • 구름많음합천17.7℃
  • 구름조금밀양18.7℃
  • 구름많음산청17.4℃
  • 구름조금거제16.5℃
  • 구름조금남해16.6℃
  • 구름조금19.6℃
  • 흐림속초10.4℃
기상청 제공

2025년 04월 09일 (수)

中, 코로나19 중약예방처방에 황기‧옥병풍산 활용도 높아

中, 코로나19 중약예방처방에 황기‧옥병풍산 활용도 높아

북방지역 자음윤조 효능 가진 맥동, 노근 약재 상용
남방지역 방향화습 효능 가진 패란, 창출 약재 상용
항바이러스 중약재로 금은화, 판람근, 어성초, 연교 등 논문 출현빈도 높아

[한의신문=김대영 기자] 중국 각 지역의 중의약 예방치료 방안을 분석한 결과 황기와 옥병풍산(황기, 백출, 방풍)의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한의학연구원 중국사무소가 26일 발표한 중국 코로나19 리포트에 따르면 현재까지 베이징, 톈진 등 24개 성·시에서 중의약 진료방안을 발표했으며 그 중 입수 가능한 15개 '중의약 예방치료방안' 중에서 '중약예방처방'을 게재한 13개 방안을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중의약 예방은 ‘치미병’ 이론에 입각해 제정한 것으로 정기(正气), 즉 면역력의 증강을 통한 감염 방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특히 13개 방안 모두 황기를 포함한 처방을 제시했으며 10개 방안에서 옥병풍산(황기, 백출, 방풍)을 포함해 활용도가 높았다.


황기의 주성분은 astragalus polysaccharides, astragaloside iv 등으로 호흡기계, 소화계 및 비뇨생식계 점막의 점액 분비를 조절하고 림 프구, 대식세포, 중성입세포, 과립구의 활성화를 촉진해 인체에 진 입한 병원체에 대한 비특이성 작용을 일으킨다.


상용중약재 3.jpg

기후조건에 따라 북방지역과 남방 지역간 차이도 있었다.

북방에 소재한 8개 지역은 기후조건 상 자음윤조(滋阴润燥) 효능을 가진 맥동, 노근 등의 약재를, 남방에 소재한 5개 지역은 기후조건 상 방향화습(芳香化湿) 효능을 가진 패란, 창출 등의 약재를 상용했다.


상용중약재 4.jpg

한편 CNKI(중국 내 학술지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서 최근 20년간 발표한 중약 및 항바이러스 관련 논문을 검색, 총 121종의 중약조합을 선별해 중약조합 중 출현빈도가 높은 성미·귀경·공효를 분석한 결과 성미·귀경 빈도는 한고간(寒苦肝) 38회, 한고폐(寒苦肺) 28회, 한고위(寒苦胃) 25회, 온신간(温幸肝) 20회, 한고심(寒苦心) 19회 순이었고 공효 비율은 청열해독(清热解毒) 20%, 활혈화어(活血化瘀) 8%, 지해평천(止咳平喘) 7%, 이수삼습(利水渗湿) 7%, 보허(补虚), 7% 순으로 조사됐다.


상용중약재 1.jpg

또한  항바이러스 약재는 주로 청열해독의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출현빈도가 높은 항바이러스 단미(单味) 중약재는 금은화, 판람근, 어성초, 연교, 황금, 황련, 대황, 마황으로 나타났다.


상용중약재 2.jpg

 

관련기사

가장 많이 본 뉴스

더보기

최신뉴스

더보기

동영상

더보기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