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6.30 (목)
'천속단 연구로보는한의약 한국한의약진흥원 카드뉴스 아토피예방'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485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대한한의학방제학회가 지난 4일 동신대학교 한의학과에서 방역 지침을 준수한 가운데 2021년 대한한의학방제학회 동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1부에서는 김영우 동국대 교수와 김윤경 원광대 교수가 좌장을 맡고 △한약과 장내미생물 활성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전용덕 우석대 조교수) △Cancer Chemoprevention and Therapy by Phytochemicals: Potential Molecular Targets (이미현 동신대 조교수) △Association between posttraumatic stre...
[제2회 한의약 홍보 콘텐츠 공모전 수상작] 한의약, 미래를 밝히다 제2회 한의약 홍보 콘텐츠 공모전! 국민과 '함께하는' 한의약의 가치. 변화·발전하는 한의약 산업이 대한민국 국민 여러분의 기발한 아이디어를 만났습니다! 영상 부문 수상작품을 지금 소개합니다! [제2회 한의약 홍보 콘텐츠 공모전 수상작] 작품명 : 한의약, 미래를 밝히다 최우수상 "전설로, 자연의 모습을 빗댄 철학으로, 대대로 내려오는 비법으로 우리를 지켜오던 한의약이 과학과 사회의 변화에 걸맞춰 선진화된 모습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수천 년...
한국한의약진흥원이 주최한 ‘제2회 한의약 홍보 콘텐츠 공모전’에서 영상 콘텐츠 ‘한의약, 미래를 밝히다’가 최우수작에 선정됐다. 수상의 영예를 안은 삼육대학교 약학과 4학년 나상은 씨는 약학과에 진학하기 전, 한 기업의 해외사업 부서에서 근무를 한 평범한 직장인이었다고 자신을 소개했다. 평소 일을 하면서 틈틈이 노인과 장애인을 대상으로 봉사활동을 펼쳐왔던 그는 몇몇 사람들이 약물 복용에 대해 제대로 숙지하지 못해 문제가 생기는 상황을 종종 마주하면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됐다고 밝혔다. 그...
한국한의약진흥원(원장 정창현)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사업단(단장 김남권, 이하 CPG사업단)에서는 한의치료기술의 실제적 효과 및안전성 등을 반영,한의의료서비스 보장성 강화를 추진하기 위해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연계 한의약 공익적 임상연구(이하 한의약 공익적 임상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의약 공익적 임상연구’는 의료기술의 문제점을 공익적 관점에서 발굴하고 검증해 도출한 근거를 임상적·정책적 의사결정에 반영하기 위한 연구로, 최근 의료 현장 실수요를 반영한 정책수립 요구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
대구한의대 한의과대학 노성수 교수는 최근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한의약진흥원이 주관하고, 대한한의학회가 후원하는 '2021년 글로벌 전통의약 협력을 위한 국제 컨퍼런스'에서 '본초-방제 기반 역류성식도염 치료 한의약물 개발 연구'를 주제로 발표했다고 1일 전했다. 이번 컨퍼런에서 노성수 교수는 한국연구재단에서 지원한 중견연구자 기초연구사업을 통해 수행한 연구내용을 발표했다. 노 교수는 한의학에서 역류성식도염 증상 치료에 다용됐던 처방을 분석하고 DB를 구축했으며, 그 중 다빈도 한의약물에 대해 급성 역류성식도염 동물 ...
한국한의학연구원(이진용 원장·이하 한의학연)은 지난달 30일 ‘한의약 표준화 전략로드맵(2021∼2024) 전문가 공청회’를 온라인으로 개최하고, 한의약 표준화 전략로드맵(안)을 공유하는 한편 이에 대한 각계 의견을 수렴했다. 보건복지부의 한의약 세계화 추진사업 내 ‘한의약 국제표준 개발’ 과제의 일환으로 한의학연이 표준화 수요조사 및 전문가 자문위원회를 거쳐 수립된 한의약 표준화 전략로드맵(2021∼2024)은 ‘14년에 수립된 한의약 표준화 전략 로드맵(2015∼2024)의 1단계 액션플랜(2015∼2017) 및 2단...
한국한의약진흥원(원장 정창현)이 한의약 해외진출 확대를 도모키 위해 전 세계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한의약 교육·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올해 11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되는 이번 프로그램에는 현재 전문 의료인뿐만 아니라 공직자, 의대생 등 19개국 535명이 참여하고 있으며, △외국 의료인(임상경력 3년 이상)을 대상으로 한의 의료기술을 전수하는 ‘한의약 임상연수’ △외국 의학대학과 보완대체의학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한의약 교육’ △전통의약 분야 외국 공직자를 대상으로 한 ‘한의약 정책연수’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