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02 (일)

  • 구름많음속초9.9℃
  • 맑음12.5℃
  • 맑음철원10.5℃
  • 맑음동두천11.1℃
  • 맑음파주12.3℃
  • 맑음대관령2.5℃
  • 맑음춘천11.3℃
  • 맑음백령도12.1℃
  • 맑음북강릉11.0℃
  • 구름조금강릉9.5℃
  • 맑음동해10.4℃
  • 맑음서울14.8℃
  • 구름조금인천15.4℃
  • 맑음원주12.0℃
  • 맑음울릉도11.8℃
  • 맑음수원14.6℃
  • 맑음영월8.8℃
  • 맑음충주13.1℃
  • 구름조금서산14.0℃
  • 맑음울진9.6℃
  • 맑음청주13.5℃
  • 맑음대전13.5℃
  • 맑음추풍령10.3℃
  • 맑음안동7.5℃
  • 맑음상주9.7℃
  • 구름조금포항13.5℃
  • 맑음군산13.5℃
  • 맑음대구10.6℃
  • 맑음전주12.3℃
  • 구름조금울산12.9℃
  • 맑음창원13.3℃
  • 맑음광주13.8℃
  • 맑음부산13.8℃
  • 맑음통영12.8℃
  • 맑음목포10.1℃
  • 맑음여수13.4℃
  • 맑음흑산도12.5℃
  • 맑음완도14.1℃
  • 맑음고창7.7℃
  • 맑음순천7.3℃
  • 연무홍성(예)8.3℃
  • 맑음9.7℃
  • 맑음제주15.0℃
  • 맑음고산16.4℃
  • 맑음성산16.0℃
  • 맑음서귀포16.6℃
  • 맑음진주13.3℃
  • 구름많음강화12.8℃
  • 맑음양평10.3℃
  • 맑음이천11.2℃
  • 맑음인제8.4℃
  • 맑음홍천9.0℃
  • 맑음태백3.8℃
  • 맑음정선군5.8℃
  • 맑음제천12.1℃
  • 맑음보은9.4℃
  • 맑음천안9.5℃
  • 맑음보령15.1℃
  • 맑음부여12.7℃
  • 맑음금산9.9℃
  • 맑음13.3℃
  • 맑음부안9.9℃
  • 맑음임실7.9℃
  • 맑음정읍9.4℃
  • 맑음남원14.2℃
  • 맑음장수5.6℃
  • 맑음고창군10.8℃
  • 맑음영광군8.1℃
  • 맑음김해시13.0℃
  • 맑음순창군7.6℃
  • 맑음북창원12.6℃
  • 맑음양산시14.0℃
  • 맑음보성군10.6℃
  • 맑음강진군9.4℃
  • 맑음장흥7.9℃
  • 맑음해남8.2℃
  • 맑음고흥14.1℃
  • 맑음의령군12.8℃
  • 맑음함양군7.3℃
  • 맑음광양시14.8℃
  • 맑음진도군8.4℃
  • 맑음봉화5.3℃
  • 맑음영주11.1℃
  • 맑음문경9.9℃
  • 맑음청송군3.6℃
  • 맑음영덕10.3℃
  • 맑음의성7.5℃
  • 맑음구미10.6℃
  • 맑음영천8.9℃
  • 맑음경주시11.9℃
  • 맑음거창7.3℃
  • 맑음합천9.7℃
  • 맑음밀양13.8℃
  • 맑음산청6.9℃
  • 맑음거제12.8℃
  • 맑음남해12.4℃
  • 맑음14.0℃
한약재 기반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가능성 ‘확인’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약재 기반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가능성 ‘확인’

경희대 한의과대학 이민준·박준우·신서원 학생, 학술지에 연구결과 게재
독립심화학습 결과물… 감초 등 활용으로 감염병의 한의학적 접근 가능성 넓혀

77-1.jpg

 

왼쪽부터 이민준, 박준우, 신서원 학생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이민준(17학번)·박준우(18학번)·신서원(16학번) 학생이 독립심화학습을 통해 한약재를 기반으로 한 감염병 치료의 데이터베이스를 마련해 눈길을 끌고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코로나19 병증 개선에 있어 고려인삼, 감초 등의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 이민준·박준우 학생의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Am J Chin Med’(IF=4.667)에, 또한 신서원 학생의 연구 결과는  ‘Journal of Ginseng Research’(IF=5.86) 온라인판에 각각 게재됐다.

 

이민준·박준우 학생은 SARS-CoV-2 바이러스의 생활사(Lifecycle)에 따라 한약재 작용기전을 체계화한 연구로, 우선 인체 침투·세포 분열·DNA 전사 등 바이러스의 생활사 전 과정을 5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내는 한약재(천연물)의 기전을 분석하는 한편 코로나19의 병리현상인 ‘사이토카인 폭풍’ 증상을 추가로 연구, 임상 현황 및 양약 병행요법까지정리했다. 

 

연구 결과 약재 성분 Quercetin, Berberine chloride, Glycyrrhizic acid 등은 SARS-CoV-2 바이러스의 생활사 내 주요 단계(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transmembrane serine protease 2, cathepsin L 등)를 조절할 수 있고, 약재 성분 Ginsenoside-Rb1, Gallic acid 등은 사이토카인 폭풍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이민준·박준우 학생은 “코로나19 치료를 위한 한약재 연구는 이전에도 많았지만, 작용 기전을 바이러스 생활사에 따라 체계화했다는 점과 함께 실용성 있는 임상데이터를 제시한 점에서 이번 연구에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고려인삼이 코로나19로 인한 신경학적 후유증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도출한 신서원 학생은 “미생물이나 ATP, 응집되고 잘못 접힌 단백질과 같은 광범위한 자극에 의해 중추신경계에 감지되는 NLRP3 인플라마좀(NLRP3 Inflammasome)은 염증성 반응을 유도해 신경학적 후유증을 야기할 수 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고려인삼이 NLRP3 인플라마좀의 활성화를 억제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했고, 신경학적 코로나 후유증에 대한 한의학적 접근 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다음은 이민준·박준우·신서원 학생들과의 일문일답이다.

 

Q. 독립심화학습을 수강한 계기는?

◎신서원(이하 신): 평소 연구에 관심이 있었지만, 학생이 직접 참여할 기회가 없었다. 조익현 교수님과 상담하던 중 이러한 고민을 나누게 됐고, 교수님께서도 학부생이 직접 연구에 참여하는 것은 어렵다 하셨다. 하지만 ‘독립심화학습’이라는 과목이 있고, 학생 스스로 설계해 최종 논문까지 작성할 수 있다고 해 수강하게 됐다.

◎이민준(이하 이)·박준우(이하 박): 논문을 한 번 써보고 싶었지만 처음이기에 논문 작성부터 보완, 투고 단계에 있어 교수님의 지도가 필요했다. 교수님의 도움을 받고자 수강하게 됐다.


Q. 연구 주제는 어떻게 설정했는지?

◎박: 코로나19가 최초 발생했을 때, 정부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발표된 한의 진료 지침이 없었다. 전국한의과대학 폐계내과협의회가 배포한 ‘코로나19 한의진료지침’만 있었다. 한의학도로서 할 수 있는 일을 고민하다 이와 관련된 논문을 써봐야겠다고 생각했다.

◎신: 교수님이 시의성 있는 주제를 찾아보라고 해 여러 후보 중 코로나19와 한의학을 연관짓는 주제를 선정하게 됐다. ‘신경학적 후유증’, ‘면역학’, ‘단백질 복합체’ 등의 순으로 세부 범위를 좁혀갔고 결국 ‘인삼과 신경학적 후유증의 연관성’을 다루게 됐다. 


Q.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가 있다면?

◎이·박: 처음 투고했을 때가 생각난다. 학기를 지나 방학때까지 고생해 가면서 논문을 투고했는데, 약 10페이지의 엄청난 지적사항과 함께 반려돼 크게 실망했다. ‘논문을 잘못 썼나보다. 어떻게 해야하나’를 두고 고민했는데, 지적사항을 다시 읽어보니 수정방향을 알 수 있었다. 논문을 작성할 때 고려할 사항을 배운 소중한 경험이었다. 

◎신: 주제 탐색, 문헌 탐구 등 어려운 과정이 많았다. 특히 기존 자료를 새로운 관점에서 재분류하고 주제를 확장하는 작업이 힘들었다. 선행 연구들과 차별화된 신선한 부분을 찾기 어려웠지만 결과가 좋게 나와 보람을 느낀다. 


Q. 향후 목표는?

◎박: 졸업하고 나서도 지금의 연구를 심화하고, 독자적인 실험모델 설계 역량을 키우고 싶다. 한의사면허를 받으면 다른 연구자와 임상연구도 해보고 싶다. 한의학적 치료가 상용화되지 않은 질환을 연구해 한의학 단독 치료 및 병행 치료의 안전성 제고에 기여하고 싶다.

◎이: 논문 게재 후 인용횟수를 확인해봤는데 1회가 있더라. 많은 횟수는 아니지만, 논문으로 누군가와 교류한 것이 뿌듯했다. 전 세계 학자들과 교류하는 한의사가 되고 싶다. 코로나19 같은 감염병이 또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많은데, 공중보건학을 공부해 한의 공중보건학 전문가로 기여하고 싶다. 

◎신: 이번 연구는 NLRP3 인플라마좀과 고려인삼의 연관성을 밝힌 연구였다. 그러나 고려인삼이 해당 병증에 직접 효과가 있다는 논문은 아직까지는 부족한 실정이어서, 앞으로 임상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해 나가고 싶다. 아직까지 진로는 정하지 못했지만 한의학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연구가 있다면 기꺼이 참여하고 싶다. 


강환웅 기자




  • [한의약 이슈 브리핑] 초음파진단기기 허용 대법원 판결 후속조치와 한의 보장성 확대방안 마련

  • [3분 한의약] 긴장성 두통의 특징적인 증상과 원인, 한의약 치료 효과!

  • [한의약 이슈 브리핑] 한국 한의사와 대만 중의사, 현대 진단기기 사용 확대 공동선언문 발표

  • [3분 한의약] 월경통의 종류와 증상에 따른 효과적인 한의약 치료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