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한의학의 기본 이론과 임상·연구·교육 등의 내용을 담은 개론서 '현대한의학개론'(군자출판사)이 출간됐다. 현대한의학개론은 이충열, 박왕용, 정기용, 엄두영, 김창업이 저자로 참여했다.
이 책은 현대한의학의 전체 모습을 개관하는 데 활용할 수 있도록 편찬됐다. 뿐만 아니라 지금의 한의학이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고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지 등 현대한의학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개론이란 어떤 학문 분야의 전반적인 내용을 소개하기 위해 개설된 교과목 또는 책을 말한다. 그리고 개론은 대부분 그 학문 분야에 관심을 가진 비전공자들을 대상으로 개설되거나 저술된다.
하지만 특이하게도 현재 한의대에서는 한의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의학개론 과목이 개설되어 강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한의학이 한국의 일반적인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을 통해 쉽게 접할 수 없는 생소한 분야여서 한의대 신입생들에게 앞으로 자신들이 공부할 한의학의 전체 그림을 보여주고 또 한의학에 익숙해지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서다.
현대한의학개론은 개론의 취지에 맞게 현시대의 한의대에서 교육되고, 연구되며 한의원·한방병원 등 임상현장에서 사용되는 한의학을 충실하게 소개하고 있다. 특히 현대한의학이라는 제목에 맞게 기존의 개론 책과 달리 한의학 경전 내용의 인용을 줄이고 가급적 최근에 발표된 논문과 교과서를 기초자료로 삼아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제1장 현대한의학이란(제1절 한의학의 현대화와 과학화, 제2절 현대한의학의 모습, 제3절 현대한의학과 중국 중의학, 일본 한방의학) △제2장 현대한의학의 철학적 기초 - 한의학은 인체를 어떤 관점으로 바라보는가(제1절 한의학의 인체관, 제2절 한의학의 사고방식과 방법, 제3절 음양오행학설) △제3장 현대한의학의 기초이론 - 인체는 어떻게 구성되고 기능하는가(제1절 인체를 구성하는 요소들 - 정, 신, 기, 혈, 진액, 제2절 오장기능계 – 장부학설, 제3절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소 – 육기, 제4절 경락經絡 - 인체는 어떻게 하나가 되나?, 제5절 체질: 사상체질四象體質- 사람은 어떻게 끼리끼리 다른가? 등을 담았다.
이와 함께 △제4장 현대한의학의 질병이해와 진단(제1절 한의학의 질병관, 제2절 질병의 진단과 변증논치) △제5장 현대한의학의 질병 치료(제1절 양생과 치미병, 제2절 치법, 제3절 약물치료, 제4절 침구치료 – 침구의학, 제5절 비약물 비침구치료) △제6장 현대한의학의 연구(제1절 현대한의학의 기초연구, 제2절 한의 임상연구, 제3절 한의학의 표준화 연구), △제7장 한국 의료 속의 한의학(제1절 현대한의학의 시작, 제2절 한의사제도의 성립과 이원화 의료제도, 제3절 의료보험의 참여, 제4절 한의학육성법, 제5절 국립한의학연구기관 설립 – 한국한의학연구원, 제6절 한·양방 협진(의·한의 협진)) 등이 수록돼 있다.
또한 △제8장 현대한의학의 교육(제1절 한의과대학의 역사와 현황, 제2절 학부 교육과정 및 국가고시, 제3절 대학원 및 전문의 제도, 제4절 대한한의학회와 분과학회의 역사와 현황) △제9장 동아시아 국가들에서 전통의학의 발전과 현황(제1절 현대시기 동아시아 국가들에서의 전통의학 발전과정, 제2절 중국, 일본, 대만의 전통의학 관련 현황, 제3절 현대시기 한국과 중국, 일본, 대만 사이의 전통의학 분야 교류와 상호영향) 등으로 꾸며져 있다.
또 △제10장 현대한의학의 미래(제1절 현대한의학의 빛과 그림자, 제2절 현대한의학의 미래방향) △부록(제1절 국내 한의학 관련 기관 및 한의학 정보 사이트, 제2절 문헌 검색 데이터베이스, 제3절 한의학 관련 국내외 학회지, 제4절 국외 한의학 관련 연구기관, 제5절 국외 한의약 및 통합의학 관련 학술단체) 등으로 엮어졌다.
이처럼 현대한의학개론에서는 의학을 둘러싼 의료적 환경과 중국, 일본, 대만의 전통의학 상황도 간단하게 소개해 현대한의학이 처한 의료적 현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했다.
이와함께 부록에서는 국내 한의학 관련기관 정보와 논문 검색 데이터베이스, 학회지 정보를 수록하여 한의학 관련 정보와 통계, 논문 등을 검색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주고 있다.